범어 (梵語)

인도에서 고대에 쓰던 아어(雅語), 곧 산스크리트(Sa?sk?ta). 이는 완성이라 뜻을 가진 것. 교육 있는 사회의 용어로서 완성된 언어. 폐타(吠陀)말의 직계. B.C. 4~5세기 무렵에 시작되어 많은 문학을 갖고, 인도의 고상한 말로서 현재도 사용. 또 범어라 함은 인도의 조물신(造物神)인 범천이 지었다는 데서 생긴 것이라 하며, 혹은 범천을 숭배하는 나라인 인도 곧 범토의 말이므로 범어라 한다고 함. 이 말은 폐타(吠陀)의 언어를 근거로 한 것으로서 상고시대 아리안족의 일부가 중앙 아시아나 페르시아 지방으로부터 인더스강의 상류 판자브 지방에 옮겨 살며, 농사와 목축에 종사하던 시절에 어떤 시인이 눈에 뵈이고 귀에 들리는 천연적인 현상에 대하여, 이것이 신위(神威)의 발현이라 하고 경탄하면서 나온 말이 곧 폐타의 성시(聖詩). 이 성시에 사용된 말은 아프간 지역으로부터 항하ㆍ염모나강의 유역에 걸쳐 확장되고 드디어 인도 고대문학의 근저를 이룬 것. B.C 4세기 경에 문법학자 파니니(波?尼, P?ini)가 나서 옛 문법을 정리하여 문법책 소달라(蘇??, Stra)를 짓다. 이 문법에 합한 말을 화문어(華文語)라 하니 지금의 산스크리트가 그것. 그 뒤에 발전사라(鉢顚社?)ㆍ벌치하리(伐치呵利) 등의 문법 학자가 나와서 주석(註釋)하며, 자전을 지어 어법(語法)이 점점 정미(精美)하여지자, 민간에서 통용하는 말과 크게 차이가 생기게 되었다. 이 민간에서 통용하는 속어를 프라크리트라 한다. 프라크리트는 자연생(自然生)이란 뜻이 있으니 자연적으로 속간(俗間)에 행하여 내려 온 말이란 뜻. 세일론(錫蘭)등에 유행하는 남방 불교인 파리어는 이 프라크리트어에서 생긴 것. 또 근대의 인도말은 대개 프라크리트의 변화된 것으로서 힌즈스타니어가 가장 세력을 가지고 있어 거의 전 인도에 쓰이고 있다. 문자는 상고 범자와 카로실차의 두 가지 체가 있으니 앞에 것은 B.C 800년경, 뒤에 것은 B.C 500년경에 수입된 세무계통의 외래문자였는데, 카로실차는 기원 전후에 쇠퇴되고, 범자는 관용의 결과로 여러 분파를 내었으니, 실담자 데바나가리자(字)와 네와리자(네팔 지방에 행함) 변체(變體)가 대단히 많다. 그리하여 인도의 순문학은 말할 것도 없고, 불교의 성전도 대부분 범어로 썼으니, 서장ㆍ중국ㆍ한국ㆍ일본 등에 전하는 소위 북방 불교 경전의 원본은 거의 다 범어로 되었음.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