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눌 (知訥)

<보조국사 지눌스님 영정> (1158~1210) 고려 스님. 호는 목우자(牧牛子), 속성은 정(鄭)씨. 경서(京西)의 동주(洞州) 사람. 8세에 종휘(宗暉)에게 의지하여 출가한 후 구족계를 받았으나 일정한 스승이 없이 도를 구하다. 1182년 승선(僧選)에 뽑히고, 창평 청원사에 있었다. 하루는 『육조단경(六祖壇經)』을 보다가 스스로 깨달은 바가 있었고, 1185년 하가산 보문사에서 대장경을 열람. 득재(得才)의 청으로 팔공산 거조사에서 각 종의 고승들을 맞아 몇해 동안 정혜(定慧)를 익히다. 1198년 참선하는 도반(道伴) 몇 사람과 함께 지리산 상무주암에 들어가 있으면서 바깥 인연을 끊고, 내관(內觀)에 힘써 현묘한 뜻에 계합. 1200년 송광산 길상사로 옮겨 11년 동안 학자들을 지도하고 법을 행하니, 승 · 속이 모여들어 대총림을 이루다. 이들을 지도할 때는 『금강경』 · 『육조단경』 · 『화엄론』 · 『대혜록(大慧錄)』 등에 의지하였고, 성적등지문(惺寂等持門) · 원돈신해문(圓頓信解門) · 경절문(徑截門)의 3종을 세워 수행케하자 깊은 뜻을 얻은 이가 많았다. 억보산의 백운정사 · 적취암, 서석산의 규봉란야 · 조월암 등은 모두 스님이 창건하고 선을 닦던 곳. 1205년 희종이 즉위하여 송광산을 조계산으로, 길상사를 수선사로 고치고, 또 만수가사(滿繡袈裟)를 보내다. 희종 6년 법상에 올라 설법하다가 그대로 주장을 잡은 채 나이 53세, 법랍 36세를 일기로 입적. 시호는 불일 보조국사(佛日普照國師). 탑호는 감로(甘露). 저서로는 『정혜결사문(定慧結社文)』 · 『진심직설(眞心直說)』 · 『수심결(修心訣)』 ·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 ·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 『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 · 『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 · 『염불요문(念佛要門)』 · 『상당록(上堂錄)』 · 『법어(法語)』 · 『가송(?頌)』 등. 김군수(金君綏)가 지은 비가 있었으나 불타고, 1678년 백암(栢菴)이 다시 세움.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