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harmap?da. ㉺dhammap?da 2권. K-1021, T-210. 오(吳)나라 때 유기난(維祇難, Vighna) 등이 224년에 무창(武昌)에서 번역하였다. 별칭으로 『법구집경(法句集經)』이라고도 한다. 『아함경』 등의 경전에서 부처님의 금구와 게송들을 뽑아 모은 경전이다. 초기 불교의 교단에서 다양한 형태로 전해지고 있던 시들을 모아서 주제별로 분류하여 편집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성도 후 80세에 열반에 드시기까지 부처님께서는 중생제도를 위해 지혜와 자비의 말씀을 계속하셨고, 심지어 구시나가라(拘尸那揭羅)에서 위대한 열반에 드시는 순간까지도 부처님의 지혜의 말씀은 지속적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부처님의 말씀은 글로 옮겨지지 못하고 구두로 전해졌다. 부처님께서 열반에 드신 후에 제자들은 부처님께서 남기신 가르침을 정리하게 된다. 그래서 제자들은 몇 차례에 걸쳐 그동안 설해진 부처님의 말씀을 정리하고 편찬하는 작업을 시작했는데 이것을 결집(結集, Sa?git?)이라 한다. 그런데 여러 차례 결집이 거듭되고 또 시간이 지나자 부처님의 위대함과 거룩함이 지나치게 문학적으로 표현됨에 따라 순수한 부처님 말씀이 아닌 내용도 상당히 가미되었다. 이러한 가운데서도 비교적 부처님의 말씀에 가장 근접한 성격을 띤 불교문헌이 바로 『법구경』이라 할 수 있다. 『법구경』의 원명은 산스끄리뜨어로 Dharmap?da이며 ‘진리의 말씀’이란 뜻이다. 이것을 한역하여 진리를 법(法)으로, 말씀을 구경(句經)으로 대치시켜 ‘법구경’이라 이름하게 된 것이다. 『법구경』의 원전(原典)은 남방상좌부(南方上座部) 계통의 경장(經藏)에서 찾을 수 있다. 주로 단독(單獨)의 게송으로 되어 있었으나, 때로는 두 개의 게송, 또는 여러 개의 게송이 한데 묶어져 있는 경우도 있다. 이 『법구경』의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일정한 시기에 어느 특정인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법구경』은 원시불교교단 안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널리 유포되고 있던 시구들 가운데서도 가장 교훈적(敎訓的)이고 아름다운 시구(詩句)만을 골라 엮은 정화(精華)로서 편집 시대는 대략 기원전 3-4세기경으로 추정되지만 게송 가운데에는 3 · 4세기 보다 오랜 기원을 가진 것도 있다. 『법구경』의 총 게송 수는 423개이고 이 게송들은 26장으로 나누어 편집되어 있다. 이 경의 내용은 불교의 논리적 교의(敎義)를 담고 있어 불교 입문의 지침서로 널리 각광을 받기도 하였다. 그래서 무수히 많은 불교경전 가운데서도 특히 이 『법구경』이 옛부터 부처님의 참뜻을 그대로 전한 경전으로서 널리 암송되어졌다. 이 경은 편찬자와 그 시기가 명확하지 않으므로 『법구경』을 대본으로 한 경전과 이본(異本)도 많이 남아 있다. 먼저 환상에 가까운 탁월한 상상력과 풍부한 시적인 소질을 가졌던 인도의 문학적 천재들은 당시 널리 애송되고 있던 주옥같은 『법구경』을 대본으로 한 새로운 작품을 창작하는 일에 인색하지 않았고 이와 같이 하여 새롭게 등장한 것이 『법구비유경(法句譬喩經)』이며 이외에도 『법집요송경(法集要頌經)』 · 『출요경(出要經)』 등의 『법구경』 계통의 경전이 있다. 여러 이역본 중 티베트어본은 ?우다나품?과 같은 33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내용도 팔리어 『법구경』보다는 ?우다나품?에 더 가깝다. 파리어장경 가운데 있는 것은 한문으로 번역된 것보다 13품이 적으나, 그 밖의 26품에서 세속품을 빼고는 품수와 순서가 일치하다. 1855년에 덴마크 사람이 파리어 원본을 출판하면서 라틴 말로 대역(對譯)함으로써 점점 서양사람들이 알게 되어 프랑스ㆍ독일ㆍ영국 말로 번역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