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종 (華嚴宗)

8종의 하나. 『화엄경』을 근본경전으로 하여 세운 종파. 혹은 이 종의 교의를 조직하여 크게 이룬 현수의 이름을 따서 현수종(賢首宗)이라고도 함. 이 종은 중국 불교의 전성 시대에 삼론종 · 천태종 · 율종 · 정토종 등 여러 종파와 대립하여 통합적인 불교로서 성립됨. 두순(杜順)을 시조(始祖)로 하고, 제2조 지엄(智儼)을 거쳐서, 제3조 법장(法藏) 곧 현수(賢首)에 이르러 크게 세력을 떨쳤으며 다음에 징관(澄觀)과 종밀(宗密)이 계속 선양하였으므로, 이들을 중국의 화엄 5조로 하며, 또 인도의 마명(馬鳴)과 용수(龍樹)를 더하여 7조라고도 함. 그 뒤 중국에서는 선(禪)과 가까워지다가 점차로 쇠퇴.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문무왕 때 독창(獨創)한 원효(元曉)를 초조(初祖)로 하는 해동종(海東宗, 또는 芬皇宗)과 당나라에 가서 지엄의 종통을 전하여 온 의상(義湘)을 초조로 하는 부석종(浮石宗)이 있었으나, 후세에까지 오래 전해진 것은 부석종. 의상이 태백산의 부석사를 종찰(宗刹)로 하여 크게 홍통한 뒤를 이어, 승전(勝詮) · 지통(智通) · 무염(無染) · 혜철(惠哲) · 연기(緣起) · 도선(道詵) · 현준(賢俊) · 법인(法印) · 원융(圓融) · 지광(智光) · 대각(大覺) · 무애(無碍) · 계응(戒膺) · 보조(普照) · 우운(友雲) 등이 종풍을 선양. 일본에는 736년 당나라 도선(道璿)이 『화엄경』의 주석서를 전한 것이 처음이며, 740년 신라의 심상(審詳)이 처음으로 일본에서 『화엄경』을 강하였고, 다음에 동대사(東大寺)가 창건되어 일본 화엄종의 기초가 확립.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