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엄 지한(香嚴智閑)이 출가하여 위산(?山)의 회상에 있었는데, 위산이 법기(法器)인 줄로 알고 지혜를 끌어내기 위하여 “내가 지금 너의 평생 공부한 지해(知解)나 경권(經卷)에서 얻은 것을 묻는 것이 아니다 .
네가 아직 어머니 뱃속에서 나오기 전 동서를 분간할 줄 모르던 때의 본분사(本分事)를 한마디 말하여 보라 .
내가 너에게 수기하려 한다” 하였다 .
지한이 아득하여 대답하지 못하고 얼마동안 망설이다가 소견대로 몇 마디 대답하였으나 모두 허락하지 않았다 .
지한이 “스님께서 말씀하여 주십시오”하니, 위산이 “내가 내 소견을 말하더래도 너의 안목에는 아무 이익도 없을 것이 아니냐?” 하였다 .
지한은 이에 자기 방에 돌아가 기록하여 두었던 스님들의 어구(語句)를 두루 찾아보았으나, 한마디로 대답할 만한 것이 없었다 .
그래서 그 책에 쓰기를 “그림에 떡만으로는 배를 불릴 수 없다”하고, 모두 불태워 버렸다 .
그리고 “금생에 불법을 배우지 못하면, 항상 밥중 노릇을 면치 못하리라”고 울면서 위산을 하직하고, 남양(南陽)에 가서 혜충 국사(慧忠國師)의 유적을 보고 거기에 있었다 .
하루는 산중에서 풀을 벨 때, 기왓장을 던지다가 대를 맞춘 소리를 듣고는 훤칠하게 깨쳤다 .
이에 문득 웃으면서 곧 돌아가 목욕하고 향을 꽂고 멀리 위산을 향하여 절하면서 “화상의 큰 자비여! 그 은혜 부모보다 더 크옵니다 .
그때에 만일 나에게 말씀하셨던들 어떻게 오늘 이 일이 있겠나이까!”하고, 게송을 지었다 .
“일격망소지(一擊忘所知) 이불가수지(而不?修知), 동용양고로(動容揚古路) 불타초연기(不墮?然機), 처처무종적(處處無踪跡) 성색망위의(聲色忘威儀), 제방달도자(諸方達道者) 함언상상기(咸言上上機)”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