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월등삼매경 (佛說月燈三昧經)

(1) 1권 .

K-182, T-640 .

유송(劉宋)시대(420-479)에 선공(先公)이 번역하였다 .

이 경은 고려대장경에만 들어 있으며, 일설에는 안세고(安世高)가 번역하였다고도 한다 .

나련제야사가 번역한 『월등삼매경』(K-181)의 제5권 후반부의 내용과 비슷하며, 선공이 따로 번역한 같은 제목의 『불설월등삼매경』(K-183)은 『월등삼매경』(K-181)의 제6권에 해당한다 .

90여 가지의 법문을 통해 모든 것은 말로써는 표현할 수 없는 공(空)이라고 설하고, 6행법(行法)을 닦을 것을 강조한다 .

이역본으로 『불설월등삼매경』(K-183) · 『월등삼매경』(K-181)이 있다 .

⇒『월등삼매경』(K-181) .

(2) 1권 .

K-183, T-641 .

유송(劉宋)시대(420-479)에 선공(先公)이 번역하였다 .

별칭으로 『문수사리보살십사행경(文殊師利菩薩十事行經)』 · 『체혜삼매경(逮慧三昧經)』이라고도 한다 .

이 경은 나련제야사가 번역한 『월등삼매경』(K-181)의 전체 10권 가운데 제6권의 전반부에 해당한다 .

부처님께서 문수사리보살인 월광(月光)동자에게 6바라밀 수행과 그 공덕을 설하시고, 공관(空觀)과 10사(事) 등에 대해 설명하신 내용을 담고 있다 .

이역본으로 『불설월등삼매경』(K-182) · 『월등삼매경』(K-181)이 있다 .

⇒『월등삼매경』(K-181) .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