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
K-235, T-669 .
양(梁)나라 때 진제(眞諦, Param?rtha)가 557년 10월에 남강(南康)에서 번역하였다 .
『대방등여래장경』 · 『부증불감경』과 함께 여래장사상을 설한 경전이다 .
특히 이 경은 여래계(如來界)와 관련하여 여래장을 설하는데, 여래계는 여래의 입장을 강조한 개념이고 여래장은 중생의 입장을 강조한 용어이다 .
모두 7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
제1 ?교량공덕품(校量功德品)?에서는 불상을 조성하고 부처님을 공경하는 공덕이 매우 크다고 설한다 .
제2 ?여래계품(如來界品)?에서는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탑을 세워 사리를 공양하는 공덕이 매우 크다고 설하시고, 그 이유는 여래께서는 희유하고 불가사의하기 때문이라고 말씀하신다 .
여래께서 경계를 삼으시고 본성을 삼음이 희유하고 불가사의하다는 것은 모든 중생들이 음(陰) · 계(界) · 입(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그것들은 시작이 없는 옛적부터 상속하며, 그곳에서는 의식이 일어나지 않고 무명도 일어나지 않는다 .
또 여래께서는 성불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지위인 인지(因地)에 계실 때, 중생계의 자성청정(自性淸淨)을 객진번뇌(客塵煩惱)가 더럽힘을 아시고 여실하게 수행하여 여래계의 무염무착(無染無着)에 도달하셨으며, 큰 자재력을 얻어 중생을 버리지 않으셨다 .
제3 ?보리품(菩提品)?에서는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여래의 위없는 깨달음, 즉 무상 보리에 대해 설하신다 .
무상 보리는 자성(自性) · 인연 · 혹장(惑障) · 지과(至果) · 작사(作事) · 상섭(相攝) · 행처(行處) · 상주(常住) · 불공(不共) · 불가사유(不可思惟) 등의 10가지 종류와 상응한다 .
보리의 자성은 10지(地)와 10바라밀이며, 이치에 따라 출리(出離)의 도를 얻는다 .
이러한 경계가 아직 번뇌의 껍질을 없애지 못한 것을 여래장이라 하고, 지극히 청정한 것을 전의(轉依)의 법이라 한다 .
제4 ?여래공덕품(如來功德品)?에서는 여래의 공덕을 180불공법(不共法)으로 설명하고, 제5 ?여래사품(如來事品)?에서는 여래만이 할 수 있는 일에 대하여 18가지로 설명한다 .
제6 ?찬탄품(讚歎品)?에서는 부처님의 설법을 들은 아난이 크게 기뻐하며 게송으로써 부처님을 찬탄한다 .
제7 ?촉루품(囑累品)?에서는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지금까지의 설법을 10가지 법으로 받들 것을 당부하시고, 이 경전의 이름을 무상의(無上依) · 미증유(未曾有) · 섭선법(攝善法) · 청정행(淸淨行) · 행구경(行究竟)이라 한다고 말씀하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