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있음, 외로움과 벗하라
법상스님
수행자는 번잡한 저잣거리로 나가기를 즐기기 보다, 고요한 아란나에서 내면을 마주하는 시간을 자주 가져야 합니다.
자주 혼자 있는 시간을 만들어야 합니다.
고요한 삶, 조금 외로운 삶과 벗할 수 있어야 합니다.
‘혼자 있음’, 외로움에 익숙지 않은 이를 중생이라 합니다.
외로움에 익숙하다는 것은 이미 수행자의 길에 들어섰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외로움이란 수행자의 영원한 길동무이기 때문입니다.
외로움과 마땅히 벗을 하고자 마음 낼 수 있어야 참된 수행자 입니다.
누군가와 함께 있으므로 외롭지 않은 것은 외로움을 극복한 것이 아닙니다.
내 옆에 누군가가 있더라도, 아무리 많은 이들이 있다 하더라도 결국에 우린 모두가 혼자입니다.
혼자이지만 결코 혼자일 수 없는 ‘전체로서 혼자’인 것입니다.
혼자임을, 외로움을 이겨내는 일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수행자의 길입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혼자 있음에 불안해하며, 외로운 것을 참지 못합니다.
혼자 있으면 뭔지 모를 답답함과 무기력을 느끼곤 합니다.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우린 지금껏 함께 있을 때 세상을 사는 방법만을 익히며 살아왔습니다.
그러다보니 혼자일 때 더 자유로운 도리, 더 행복할 수 있는 도리를 거의 생각조차 해 보지 못 한 채 세상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가만히 생각해 봅시다.
우리가 살아오며 추구하던 그 모든 것들은 내 혼자서는 아무런 쓸모가 없습니다.
다른 누군가와 견주어 질 때만 그 진가를 발휘하게 됩니다.
나와 견줄만한 누군가가 있을 때, 내가 (그 보다) 잘생겼을 수도 있고, 똑똑할 수도 있고, 명예로울 수 있으며, 부자일 수 있고, 학벌이 좋을 수도 있는 법입니다.
혼자서는 잘나고 못나고도 없으며, 부자와 가난도 없고 아름다움과 추함도, 뚱뚱함과 가냘픔도 학벌이나 명예, 지위가 높고 낮음도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진정 혼자일 때 그 어떤 시비분별도 다 끊어지는 것입니다.
그 말은 다시 말해 혼자일 때 어디에도 걸리지 않고 자유로워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돈의 많고 적음에, 잘나고 못남에, 높고 낮음, 크고 작음이 모든 양극단의 판단 분별 속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말입니다.
혼자일 때 답답하고 무기력한 이유는 바로 여기 있습니다.
내가 추구하고자 하는 것을, 혼자서는 도저히 이루어 낼 수가 없기 때문이며, 혼자라는 것은 나를 알아주고 인정해 줄 그 누구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말이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태어나면서부터 어떻게 하면 남들보다 더 잘 살고, 남들에게 인정받는지 남들에게 잘 보일 수 있으며, 남들에게 승리할 수 있는지를 교육 받아왔습니다.
그것이 삶을 살아가는 행과 불행을 좌우해 왔습니다.
돈이 남보다 많으면 행복, 그렇지 않으면 불행, 권력이나 지위, 계급이 남보다 높으면 행복, 그렇지 않으면 불행, 얼굴이며 몸매가 남들보다 잘 빠지면 행복, 그렇지 않으면 불행, 학벌이 남들보다 좋으면 행복, 그렇지 않으면 불행, 남들보다 커야하고, 남들보다 잘나야 하고, 남들보다 똑똑해야 세상 살아가는 행복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렇듯 남들에 비해 어떠어떠한 상대적인 행복을 찾는 데에만 익숙해왔습니다.
남들과 함께 있음으로 ‘나’를 느끼고 맛볼 수 있었습니다.
나는 착하다, 잘생겼다, 똑똑하다, 키가 크다 등등······ 이 모든 ‘나’를 규정하는 판단 분별은 상대가 있어야만 가능한 것들이었습니다.
홀로 있음이란 나를 내세울 수 없다는 말입니다.
‘나’를 내세울 수 없기 때문에 혼자는 괴로운 것입니다.
나를 내세우는 일만 배우고, 그것만을 하며 살아왔는데 그 일에서 한번 떨어져 보라고 하니 무기력해 지는 것입니다.
그러니 이 ‘혼자 있음’의 공부는 상대적인 모든 시비분별을 떠나는 공부입니다.
그러기에 ‘혼자 있음’ ‘외로움’이란 가장 빨리 실천에 옮길 수 있는 체험적인 공부, 생생한 공부인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혼자’ 있을 수 없는 이유는 바로 이 ‘나’라는 놈 때문입니다.
‘나’가 남아 있는 이상 여전히 시비분별은 닦이지 않을 것입니다.
생(生)이 없다면 사(死)는 논할 필요조차 없습니다.
생이 있기 때문에 죽음 또한 생기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많은 남들 즉 상대가 없다면 나 즉 혼자라는 것 또한 혼자라고 이름 붙일 필요조차 없게 됩니다.
상대가 없는 ‘나’는 더 이상 나가 아닌 것입니다.
조금 쉽게 말해 이 세상에 오직 ‘나’ 혼자만 있다면 둘 셋이란 말조차 필요 없을 것이고, 상대라는 말조차 끊어진 개념이 되고 말 것입니다.
그렇기에 혼자 있음이란 상대와의 시비분별이 끊어진 자리입니다.
그것을 배우는 일이다보니 혼자 있음이 답답하고 무기력해지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살아오며 배워 온 상대와의 분별 속에서 남들보다 더 나아야 한다는 신념들을 송두리째 뽑아버리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수행자는 이겨내야 합니다.
홀로 있음에서 오는 그 고독감과 외로움에 당당히 맞설 수 있어야 합니다.
그것은 나 자신과의 싸움이며 시비 분별을 끊어버리는 큰 공부이기 때문입니다.
수행자는 혼자 있음을 배워야 합니다.
수행자는 외로워야 합니다.
아니 혼자 있음, 외로움 속에서도 늘 자기 마음의 주인을 확고히 세울 수 있어야 합니다.
마음의 주장자 밝게 서 있다면 주장자로 살지 곁가지로 휘둘려 살지 않습니다.
혼자서도 당당하고 떳떳하며 자유로울 수 있어야 합니다.
외로움이라는 것은 하나의 상황입니다.
봄이 오면 꽃이 피고 가을이 되면 단풍 지듯 그렇듯 상황 따라 잠시 일어난 인연일 뿐입니다.
결코 우리가 얽매여 외로움에 치를 떨어야 할 그런 경계는 아닙니다.
사람들은 누구나 혼자 왔다가 혼자 가야 합니다.
세상을 살아가면서도 사실은 혼자 살고 가는 것입니다.
잠시 부모, 부부, 친구, 친지, 형제, 이웃, 도반과 함께 한다고 생각하지만 그 또한 잠시 조건 따라, 우리 업식 따라 인연 지어진 것에 불과합니다.
함께 하기 때문에 덜 외로운 것처럼 생각하지만 외로움의 근본을 살펴보면 함께 한다고 적어지거나 혼자라고 늘어나는 것이 아닙니다.
잠시 없어짓 듯 해도 조건이 맞으면 다시 생겨나는 것이지요.
이런 사실을 바로 깨닫게 되면, 즉, 외로움이라는 것 또한 하나의 상황이라는 것을 바로 알게 되면 그 헛된 마음에 놀아나지 않을 수 있게 됩니다.
상황을 바꾸는 것으로 외로움을 달래려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누군가와 함께 하는 것으로 외로움을 달래려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갈 수 있어야 수행자 입니다.
수행자는 외로움과 즐거이 벗할 수 있어야 합니다.
외로움이란 놈의 실체를 가만히 관해 벗겨 볼 수 있어야 합니다.
사람들은 누구나 혼자인 것을 싫어하지만 어느 한 순간도 혼자이지 않은 때는 없습니다.
올 때도 그랬고 갈 때도 그럴 것이며 살아가는 매 순간 순간이 그러할 것입니다.
혼자 있음, 외로움과 벗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