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학스님─’큰 원(願)을 세우라 ‘

‘큰 원(願)을 세우라 ‘

-우학스님-

원은 곧 희망이다.

그러므로 원이 없이 하루하루 연명하는 사람은

산송장과 다를 바 없다.

원이 있는 사람은

의식이 분명하여서 자기가 이세상에

왜 살고 있는지 잘 알고있다.

그래서 살만한 가치를

설정하고 열심히 노력하고 기도도 한다.

그런데 이원에는 중생이 세우는 작은 원이 있는가 하면

불보살이 세우는 큰원이 있다.

작은 원은 그 바라는 바가 단편적이고

근시안적이며 자기 이익적이다.

큰원은 종합적이고 입체적이며 전체 이익을 추구한다.

얼마전 방생및,야외 법회에서 본인들

스스로 원을 적은 축원 카드를 읽던중

놀랄만한 사실 하나를 발견했다.

백퍼센트 모두가 다 가족건강 및 가족의 소원을 잔뜩 적어두었지,

불국토 건설이나 사찰 발전 등의 원은 하나도 눈에 띄지 않았다.

더욱이 그날 법회의 목적이 미물의 방생임에도 불구하고

그미물의 해탈을 바라는

내용이 전혀 없어 기분이 씁쓸하였다.

“관세음보살님을 외우고 기도하는 관음행자는

천수경에서 나타나는 관세음보살님의10원(願)

6향(向)을 자기원으로 삼아야 한다.

10원 6향은”일체법을 속히알고저 원합니다”에서

시작하여”축생을 향하면 그들이 큰 지혜를 얻게하여지이다”로

끝을 맺고있다.

뒷쪽의 6향은 앞서 세운 10원의 구체적

실천 다짐 이라고 볼수있다.

아무튼 이 10원 6향은

관세음보살님의 대자대비 원으로써,

우리 모든 관음기도자들이 다 함께 세워야

내 사는 이 현실이 가릉빈가 지저귀고 금옥수 돌돌돌 흐르는

보타락가산 극락의 동산이 될수있다.

한편,중생의 작은원은 원초적 욕망 같은 것이라서

불교수행의 일반적 가치 개념과는 상반되는 점이 없지않다.

예를들어”우리아이를 이번 대학 시험에 합격 시켜 주십시오”

하고 원을 세워 기도한다면 그 원이 성취는 되겠지만

보살의 기도로서는 석연치 않은 점이 있다.

“부처님 이 자식놈이 이 세상에 나서 인류와 사회를 위해

무엇인가 보람있는 일을 할수있도록 온정성을 기우리는 부모가

되고자 하옵니다”하고 발원한다면 이에 앞서 언급했던 작은 원은

다 포함 되면서 공동선의 완성도 같이 있게 된다.

이같은 발원의 모양새는

스님들의 관음 축원문에도 잘 나타나 있다.

사시 맞이에 동참 해본 신도님들은 가족 개개의 축원끝에

“연후원 세세 상행 보살도 구경원성 살바야 마하반야 바라밀”

이라고 읖조리는 스님 염불을 들었을것이다.

“나의 모든 기도 생활이 세세 생생 동안의보살도로 연결되어서

끝내 부처님 세계로 이루어지이다”라는 내용인데

바로 이 발원문이 가장 전형적인 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는”불자로서의 뚜렸한 목적의식”즉,큰원을 세워야한다.

그 절에 오래주석하는 주지스님은

그절의 부처님을 닮는다는 말이 있다.

관음 기도를 하는 불자는 관세음보살을 닮는다.

우리는,겉모양은 물론이요,속모양도 닮아야한다.

속마음이 관세음보살을 닮으려면

관세음보살의 큰원을 잊어서는 안된다.

모든 관음 기도자는 관세음보살의 10원 6향을

자기의 원으로 삼기로 권한다.

-관세음보살님의 한량없는 가피 중에서-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