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흥스님─마음이 즐거우면 바로 극락입니다

마음이 즐거우면 바로 극락입니다

-법흥스님-

나는 과연 무엇때문에 사는가? 우리는 왜 이 세상에 태어났다가 죽어야 하는가? 나는 내 인생을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아무리 감각이 둔한 사람일지라도 이런 의문이 들 때가 있을 겁니다.

특히 조용한 밤중에 홀로 깨어있거나, 고통스런 일을 당했을 때나, 저승길이 얼마 남지 않은 황혼녘에서 이러한 의문이 가슴을 짓누르는 것을 느낄 것입니다.

안타깝고 답답하지요.

사실 누구나 자기 삶을 돌이켜 본다면 만족한다거나 자부심이 들기보다는, 아쉽고 허무하고 무상한 생각이 드는 것이 대부분일 것입니다.

그러나 불교를 제대로 알고, 진실로 믿는 사람은 그러한 후회를 하지 않습니다.

삶과 현실을 직시하고 진실한 나를 찾기 위해 노력하기 때문이지요.

우리의 삶이 순탄하고 생활에 여유가 있고 일이 잘 풀려가면 종교에 대해 관심이 없습니다.

그러나 누구라도 인생의 석양길에 드는 60~70대가 되면 자기의 인생을 되돌아 보게 됩니다.

인생에 대한 무상함을 느끼게 됩니다.

그러나 인생의 황혼길에서 자기의 근본문제를 생각한다면 늦은 겁니다.

지금 이시간, 자신을 바로 보세요.

우리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인연속에 태어납니다.

태어나니 늙고, 늙으니 병들고, 병드니 죽게 됩니다.

언젠가는 죽어야할 숙명을 가진 것이 인생인데 우리는 영원히 살 것 같은 착각속에 빠져 바로 내일 일을 생각하려 들지 않지요.

우리는 일시적으로 잠깐 살다가는 존재며 그래서 불교적인 용어로는 ‘가아(假我)’, 가짜 나라고 하는 것입니다.

왜 가짜 나인가? 나라는 이 육신이 수백년 수천년 사는 존재가 아니라 언젠가는 죽어야할 숙명을 지닌 존재이기 때문에 ‘가아’라고 합니다.

그러면 실아(實我)는 무엇이냐.

마음이고 넋이고 얼이고 영혼이고 정신이고 본래면목이고 육신을 끌고가는 주인공입니다.

불교적 용어로 말하면 불성이고 자성이며 여래장이지요.

육신은 생멸이 있고, 나고 죽음이 있지만, 청정한 마음자리 법신은 생멸이 없습니다.

법신은 우주에 충만하고 불생불멸이며 상락아정(常樂我淨)입니다.

(법화경)에 ‘제법종연생(諸法從緣生) 제법종연멸(諸法從緣滅)’이란 말이 있습니다.

모든 법이 인연을 좇아 생겼다가 인연이 다하면 없어진다는 말이지요.

함허스님도 “천겁을 흘러가도 옛이 아니고(歷千劫而不古) 만세를 뻗어도 길이 이제(亘萬歲而長今)”라고 하였으니 육신은 생멸이 있으되 마음은 생멸이 없는 것입니다.

우리 인생은 지금 이순간에도 1초1초 죽음으로 한발 한발 가고 있습니다.

생(生)과 사(死)는 동일점에서 출발하는 모순을 내포하고 있어요.

부단히 살고 있으면서 부단히 죽음의 길로 접근하고 있는 것이 모순이요, 이율배반입니다.

영원히 살고자 하지만 결국 죽음에서 단절되고 맙니다.

단절된 계기에서 생과 사는 즉(卽)하고 있어요.

그러니 생즉사요, 사즉생이라 하는 것입니다.

생사가 바로 열반이고 번뇌 즉 보리라는 말이 이래서 나왔습니다.

둘이 아닙니다.

부처란 말은 상주불변의 진리를 뜻합니다.

진리란 생멸이 없는 것이고 고금이 없어요.

동서고금을 통해 누구라도 그렇다고 시인할 수 있는 것이 진리입니다.

우주의 작용은 일정한 이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이법이 도이고 진리입니다.

우주에 가득차 있는 진리를 인격화시킨 것이 부처예요.

인간의 몸 받기 어렵고, 불법 만나기 어렵다고 했습니다.

인간의 몸으로 태어나 그 소중한 불법을 만났으니, 돈을 많이 벌거나 명예를 탐하거나 남을 이기고 헐뜯고 경쟁하는데 쓸 것이 아니라, 오로지 자기자신의 인격을 완성하고, 공동으로 우주의 대 진리를 찾아내 성불에 이르는 것을 최고 목표로 삼으십시오.

이 세상의 모든 것은 나의 마음의 산물이요, 마음가짐에 의해서 좌우됩니다.

그래서 일체유심조 라고 하는 것입니다.

존재 방법의 근본은 마음입니다.

마음은 형상과 모양과 빛깔을 갖고 있지 않지만 우리는 마음에 의해 움직이게 됩니다.

고통과 번뇌를 여의어 내 마음이 즐거우면 바로 극락인 것이고, 내가 죄를 지어 괴롭고 고통스러우면 지옥입니다.

부처님법의 요체는 바로 중생이 겪는 삶의 고통을 벗어나자는 것입니다.

불교는 마음을 갈고 닦고 기르는 공부입니다.

마음을 닦는 것이 수심(修心)이요, 마음을 기르는 것이 양심(養心)이며, 마음을 쓰는 것이 용심(用心)이고, 마음을 잡으면 섭심(攝心)이라 합니다.

그러면 평소에 어떤 마음을 가져야 하느냐.

어떤 마음을 가져야 극락이고, 마음을 잘 쓰는 것이냐.

첫째, 청정한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광명정대한 마음, 청풍명월 같은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임제선사께서도 “청정심이 부처”라 했어요.

청정한 마음 깨끗한 마음은 부귀나 권력에도 휘둘리지 않습니다.

두번째는 감사하는 마음입니다.

부처님은혜, 부모님 은혜, 스승의 은혜, 중생의 은혜에 감사하는 마음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이 세상에 홀로 존재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쌀 한톨의 생산에도, 우리가 사는 집도, 자연의 수고와 수많은 사람이 관여하여 이루어낸 결과물입니다.

주의깊게 살펴보면 감사할 일은 많습니다.

감사하는 마음이 확산될 때 이 세상은 밝아지고 평화로워 집니다.

세번째는 용맹심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나의 은사스님이신 효봉스님은 38세때 금강산 신계사 보은암에 입산하여 8년동안 장좌불와와 오후불식으로 정진하셨습니다.

한번 앉으면 일어나는 것을 잊을 정도로 용맹정진하셨지요.

한번 목표를 세우면 그렇게 용맹심으로 밀어붙여야 성취가 되는 법입니다.

우리가 고통을 받는 것은 시도 때도 없이 번뇌가 치솟기 때문입니다.

강력한 정신집중이 없으면 번뇌는 끊어지지 않지요.

그래서 참선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학문의 왕인 철학이라는 것은 개념을 논리에 의해서 구성해 놓은 세계입니다.

그러나 선은 논리와는 적입니다.

선은 정신집중이고 공안에 대한 의심입니다.

강력한 정신집중을 하기 위해 참선을 하는 것이지요.

오롯하게 정신집중하여 이 마음을 깨쳐야 인간존재의 진면목을 알 수 있게 됩니다.

참선을 하여 자성을 깨치면생사를 해탈하고 선악의 근본을 알고 우주와 내가 둘이 아닌 이치를 알게 됩니다.

나라는 집착을 버리고 무명을 깨뜨리고 본래의 청정한 나로 돌아가고자 하는 것이 참선입니다.

참선이란 욕망과 아집으로 뭉쳐있는 삶을 근원적으로 비판, 탈각해서 진실하고 자비롭게 살자는 것입니다.

우리의 현실은 지식이나 분별작용, 자기주관으로 뭉쳐져 있어서 삼라만상을 하나의 생명근원으로 보는 전인적인 입장이 아니라, 그때그때 필요에 의해 파악되는 협소한 개인의 주관적인 분별에의 투영입니다.

참선은 열심히 하면 전인적이고 근본적인 입장에서 사물을 보게 됩니다.

세속사람들이 구하고자 하는 것은 전부 고통덩어리입니다.

세속 사람들은 적자생존의 법칙하에 환경의 지배를 받아 먹고 살기 위해 온갖 노력을 기울이다 보니 도 깨칠 여력이 없다고 합니다.

다람쥐 쳇바퀴 돌 듯 하루 하루를 습에 따라 보내지요.

생사에 매여 있다는 말이 바로 이것입니다.

미혹한 중생으로 머물러, 윤회의 고통을 반복해야 하겠습니까? 부처님법이 최고라는 사실을 알게된 이상 부처가 되고자 노력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미혹한 중생이, 세속에 부대껴 살며 부처가 되는 길이 그리 쉽겠습니까? 죽을 고비를 몇 번씩 넘겨도 될까 말까 하지 않겠어요? 이 좋은 법이 있는 줄 알게 된 이상 마음을 닦는 수행을 꾸준히 해야 발전이 있습니다.

형상앞에 나아가 무엇을 얻게 해달라고 열심히 빈다고 그것이 참다운 기도가 아닙니다.

기도나 예불은 스스로의 마음을 청정하게 해 부처님께 진심으로 귀의하는 것을 말합니다.

지극한 마음이 우선이지요.

우주의 본질을 보고 내 생명의 본질을 깨닫고, 만가지 다른 모습에서도 본 성품을 보고 결국 나의 생명이나 우주의 모든 중생이 근본은 같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부처님법입니다.

나라는 인간이 무엇인지, 자기의 본래면목이 무엇인지 모른다면 어떤 일도 제대로 할 수 없습니다.

이 세상이 말세가 되어 혼탁한 것은 자기 자신을 모른채 가아(假我)에 정신이 팔려 모두가 진실한 참나에 관심이 없기 때문입니다.

불교를 제대로 믿으면 우리는 매일 매일 새롭게 발전할 수 있습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