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 문화

6년 전 고등학교를 맡아 학교 경영에 전념하다 다시 대학 강단에 돌아왔을 때 가장 당황했던 점은 강의실 안에서 모자를 쓰고 있는 학생들이 유난히 많은 것이었다. 남녀학생 가릴 것 없이 모자를 눌러쓰고 있으니 얼굴도 잘 보이지 않을 뿐더러 남녀 구분조차 힘들었다.

실내에서 모자를 벗는 것이 옳은지, 그냥 쓰고 있게 두는 것이 옳은지 쉬 판단이 서지 않았다. 속으론 모자를 벗기고 싶은데 섣불리 말했다가 학생들의 반발에 내 논리가 궁색해지면 학기 초부터 수강분위기를 망칠 수 있기에 신중히 대처하기로 하고 첫 강의를 마치고 연구실로 돌아와 얼마간 고민한 적이 있었다. 결론은 모자를 쓰는 게 그 즈음의 유행이고 의상의 일부로 보면 별 문제가 되지 않겠고, 우리 옛 어른들도 방안에서 갓을 쓰고 있었으니 그대로 인정해 주기로 한 적이 있었다.

몇 년 전부터 또 눈에 거슬리는 게 휴대폰이었다. 아예 첫 강의시간에 공개 경고를 하였다. 강의 중에 휴대폰을 사용하거나 벨이 울릴 때와 책상 위에 두어 내 눈에 띄면 무조건 압수하여 1주일 동안 연구실에 보관하였다가 다음 주 강의 후에 돌려준다고 하였다. 이 처방은 그 후 2년 동안은 그런대로 유효하였다. 그래서 올해 신학기에도 같은 처방을 썼는데 이젠 통하지 않았다. 이미 휴대폰은 학생들의 손에서 떨어질 수 없을 정도로 증상이 심각해진 것이다.

이제는 초등학교 어린 학생들로부터 노인에 이르기 까지 휴대폰은 생활필수품이 되었다. 아니 손에서 잠시라도 떠나서는 안 되는 장신구가 된 것 같다. 길을 걸으면서도, 승강기 안에서의 짧은 시간도, 복잡한 버스 안은 말할 것도 없고 다른 사람과 대화를 하면서도 손은 연신 휴대폰 자판기를 만지고 있다.

이 사람들로부터 휴대폰을 빼앗으면 어떻게 될까. 허전함을 넘어서 공황상태로, 한걸음 더 나아가 알코올이나 담배 등의 중독 환자에서 볼 수 있는 금단현상 까지 있을 법하다. 이미 손에서 휴대폰은 떨어지기 힘든 경지에 이른 것 같다.

우리가 모르긴 하지만 지구의 어딘가에는 새로운 생명이 태어나고 또한 죽어간다. 휴대폰 또한 광고에 나오지 않을 뿐이지 새로운 폰이 탄생할 것이다. 언젠가 IBM사의 영업사원이 PC 판매원은 야채장수와 같다고 했다. 시장에 나오면 이미 한물간 제품이고 벌써 새로운 제품이 개발되어 있다는 것이다.

휴대폰 또한 1973년 경 탄생하여 일본의 NTT에 1세대 무선 네트워크가 소개되었고, 1991년엔 핀란드에서 GSM 네트워크가 처음으로 소개되고, 1993년에 PDA 기능이 탑재된 휴대폰이 첫 출시되었다고 한다. 이어서 블루투스 기능이 선보이고, 2007년에 샤프에서 최초로 내장 카메라가 달린 핸드폰을 출시했다고 한다. 그 후 수많은 과정을 거쳐 2007년에 애플에서 아이폰이 탄생하고 이어 2008년에 안드로이드폰이 출시되는 등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여 오늘날 이처럼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처럼 다양한 새로운 기능을 가지고 커다란 화면에다 수백만 화소의 카메라를 지닌, 기존의 3G보다 10배나 빠른 데이터 속도와 게임 실행능력 등 상상하기 조차 어려운 사양을 갖춘 기종들이 잇달아 출시되는데 어떻게 이를 따라가야 하는가.

요즘 들어 아들이 내 ‘고급(古級)’의 휴대폰을 ‘스마트폰’으로 바꿀 것을 은근히 종용하고 있다. 어차피 바꾸기는 바꿔야 하겠지만 쉬 결단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어린 아이들도 막노동자들도 다 스마트폰을 쓰는데 명색이 교수라는 애비가 너무나 시대에 뒤떨어진 모습을 하고 있으니 꽤나 안쓰러웠나보다. 대학이라는 곳이 ‘첨단’의 학문을 하면서도 가장 ‘보수적’이어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지는 않을 텐데.

대세를 거역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무조건 시류時流만 따르다 보면 본질을 놓칠 수도 있으니 첨단(尖端)보다는 한물간 유행을 따르는 것도 처세의 한 방법일 것이다. 어쩌면 설익은 문화인보다 무식한 원시인이 되고플 때가 더 많다.

김형춘 창원문성대학 교수, 문학박사, 월간 반야 2012년 7월 140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