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노블레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

선진국에서 그 사회를 지탱하는 힘은 ‘노블레스 오블리주’라고 한다. 한 사람의 사회적 명예와 권력과 부(富)가 높고 강하고 많을수록 그에 따르는 도덕적 의무나 사회적 헌신의 필요성은 비례해서 늘어난다는 것이다. 고귀한 신분에 따른 윤리적 의무를 가리키는 말이다.

지난달 5월은 가정의 달이었다. ‘어린이날’에다 ‘어버이날’이 있었고, ‘성년의날’이 있었는가 하면 ‘부부의 날’이 있었다. 여기에다 인류의 영원한 스승이신 ‘석가모니 부처님 탄신일’까지 겹쳤었다.

그 한 달 동안에 가장 괴로웠던 부모와 자식 중의 한 사람은 아마 한화그룹의 김모 회장과 그 둘째 아들이었을 것이다. ‘별 두 개 달린 모자를 쓰고 가죽장갑을 낀 채 150센티미터 짜리 쇠파이프를 휘둘렀다’고 보복 폭행 당한 술집 종업원들이 경찰에서 진술했다고 한다. 그의 옆에는 몽둥이와 전기충격기로 무장한 경호원들이 조직폭력배처럼 도열해 있었다고 한다. 좀 에누리해서 보아도 우리나라의 재계 순위 9위에다 33개 계열기업에 2만 5천여명의 직원을 거느린 재벌그룹 총수의 모습은 아닌 것 같다.

세계 제1ㆍ2차 대전에서 영국의 고위층 자제들이 주로 다닌다는 ‘이튼스쿨’ 출신자만 2천 여명이 전사했는데 이 숫자는 노동자나 일반인들 자녀들의 희생자의 몇 배나 된다고 한다. 또한 워터루 전투에서 나폴레옹 군대를 물리치고 개선한 윌링턴 장군은 승리의 영광을 자기의 모교인 ‘이튼스쿨’의 운동장에 바친다고 하지 않았던가. 이처럼 영국의 고위층 귀족 자제들은 이튼스쿨에서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배웠던 것이다.

오늘의 초강대국 미국이 있기까지에도 역시 자본주의의 부를 앞세운 ‘노블레스 오블리주’는 본받을 만 하였다. ‘US스틸’의 철강왕 ‘카네기’는 축적된 부로 ‘카네기재단’을 설립(1911년)하여 당시 돈으로 자그마치 5억 달러라는 천문학적인 돈을 쏟아 부었고, 그가 지어 사회에 헌납한 도서관만도 2천5백 개에 달했다고 한다. 석유왕 ‘록펠러’는 한때 미국에서 가장 혐오스런 인물의 대명사였지만 ‘록펠러재단’으로 자선사업을 시작한 후로 가문 자체가 자선의 명가로 대대로 칭송 받고 있지 않은가. 미디어왕 ‘테드 터너’도 1998년에는 자기 재산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30억 달러를 유엔에 출연하였는가 하면 원래 자선에 관심이 없었던 ‘빌 게이츠’에게 구제의 기쁨을 가르쳐 준 사람으로 더 유명하다. 스승인 ‘테드 터너’의 선행에 감동받은 ‘마이크로 소프트’의 ‘빌 게이츠’도 비영리재단 ‘빌멜린다 게이츠재단’을 설립하여 매년 수십억 달러를 아프리카의 말라리아 퇴치운동에 쏟아 붓고 있으며, 미국 내 소수민족 학생을 위한 장학금으로 기부한 액수만도 50억 달러에 이른다고 한다.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독과점이 도마에 올랐을 때 사람들이 그를 욕심 많은 기업가보다는 기부왕으로 평가했던 것도 나름대로 이유가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한국의 노블레스 오블리주는 어디에 있는가. 우리의 선조 중에는 정말 품위를 갖춘 선비들이 많았다. 안분지족(安分知足)하고 안빈낙도(安貧樂道)하신 분들이 부지기수였다. 미국의 청부(淸富)들도 대단하지만 우리 역사 속의 청백리(淸白吏)들은 더 존경받아야 한다. 문제는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노블레스 오블리주가 되려면 희생ㆍ절제ㆍ봉사가 따라야 한다. 오늘날 우리네 대기업처럼 도덕성이 결여된 부귀의 세습은 결코 존경받지 못한다는 것이다. 한 걸음 더 나아가 ‘부(富)’보다는 ‘귀(貴)’를 중시하는 성숙한 사회가 되어야 한다.

얼마 전 2551번째 생신을 맞으신 인류의 영원한 스승 석가모니 부처님께서는 생전에 무엇을 얼마나 지니셨고, 열반 후 무엇을 남기셨는가를 생각해 볼 일이다.

김형춘 향암 (창원전문대 교수) 글. 월간반야 2007년 6월 제79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