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재지변(天災地變)

중국 쓰촨성(四川城)의 지진 뉴스는 언제까지 계속될까. 인적 물적 피해규모는 얼마나 될까. 언제쯤이면 복구가 될까. 복구에 필요한 예산은 얼마쯤 될까. 과연 완전 복구가 가능할까. 세인의 짧은 지식과 부족한 정보, 무딘 상상력으론 엄두가 나질 않는다.

1976년 중국 탕산(唐山) 대지진 때엔 25만 명의 사망자를 냈고, 1995년 한신(阪神) 대지진으로 6500명이 사망했다고 한다. 2004년엔 동남아시아에 강도 9.0의 지진으로 인한 쓰나미(해일) 사태가 발생하여 인도네시아에만 11만 명이 사망하였고, 최근 미얀마에선 싸이클론으로 사망자는 확인되지 않고 이재민이 20만 명 정도라고 외신이 전한다. 이번에 또 중국의 쓰촨성에서 진도 7.8의 강진이 일어나 그 피해 규모를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인데다 여진마저 계속되어 사태가 언제까지 계속될 지 걱정이다. 한반도를 에워싸고 있는 동북아의 주변국들의 재난은 우리와는 무관한가. 우리는 이런 천재지변으로부터 안전한가. 괜히 불안해 할 필요는 없지만 ‘그래도’ 하는 생각이 든다.

이번 대지진은 유라시아 지각판에 속한 티베트고원이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중국 쓰촨성 청두(成都)시 서북쪽에 위치한 룽먼산(龍門山) 단층의 활동을 유발시킨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았다. 이 쓰촨성에서는 1933년 8월에도 규모 7.5의 지진이 발생하여 9300여명이 사망한 바 있다고 한다.

일부 네티즌들은 이번 지진을 불교를 신봉하는 티베트인의 독립ㆍ자치시위를 유혈 진압한 중국정부에 대한 ‘부처님의 분노’로 해석하기도 했다. 부처님오신날(12일)에 발생하였고, 베이징 올림픽 성화가 에베레스트 등정을 마치고 다음달 중순 티베트 진입을 앞둔 시점에서 티베트고원이 요동쳤기 때문이란다. 믿거나 말거나 한 이야기지만.

또 하나의 원인으로 제시하는 것이 바로 ‘싼사(三峽)댐’이다. 이 댐은 양츠강 유역의 홍수 피해를 줄이고 클린 에너지를 공급하겠다는 의도로 건설되었지만 오히려 환경문제 등에 어두운 면을 드러내고 있었다. 이 댐은 규모가 우리나라 소양강댐의 14배나 되는 세계최대라고 하니 그 저수량(총 저수량 390억톤)의 수압이 이곳 지각층을 눌러서 재앙의 규모가 더 커졌다는 것이다.

이런 점들을 종합해 보면 이번 대지진은 물론 천재지변이 큰 원인이겠지만 여기다가 인간의 탐욕과 무지와 인간중심주의 사상으로 인한 무분별한 개발과 자연훼손, 생태계의 파괴 등 인재(人災)도 상당부분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이제껏 인간은 일부이긴 하지만 지식층에서 나름대로 인간중심주의를 외치면서 인간의 자유와 이성이 자연을 지배ㆍ정복해야 하며, 인간의 존엄과 권위를 위해서는 신이 존재할 수 없다고 외치고 있다. 세계의 주인으로서의 인간은 자연을 지배ㆍ정복하고, 자연을 마음껏 이용하여 편의와 행복을 누려야 하며, 학문ㆍ기술ㆍ사상은 인간에게 만족과 영광을 줄 수 있다고 큰소리쳐 왔다.

그런데 이게 뭔가. 1976년 탕산에선 잠자리와 새 수만 마리가 떼지어 수백 미터를 날아갔는데 사람들은 이를 눈여겨보지 않았고 급기야 며칠 뒤 대지진의 발생으로 25만 명이나 사망하는 사고가 있지 않았는가. 2004년 인도네시아의 쓰나미 때에도 직전에 해안의 동물들이 줄지어 언덕으로 대피하는 모습들이 목격되어 보도되지 않았는가. 이번에도 지진이 쓰촨성을 뒤흔들기 사흘 전 진앙지 인근 마을에서 두꺼비 10만 마리가 거리로 쏟아져 나오는 사진이 보도되었는데 이들은 차와 사람에 밟혀죽으면서도 줄곧 한 방향으로 이동했다고 한다. 마을 사람들이 불안해 하였지만 당국에선 ‘산란기 이동이니 환경이 좋아졌다는 소식’이라고 반겼다니, 하찮은 미물들의 경고라고 무시해버린 오만한 인간이 무슨 할 말이 있겠는가.

이즈음 들어 자연 앞에서, 영원 앞에서, 무한 앞에서 인간의 왜소함이 더 절실히 느껴지는 것 같다. 쓰촨성의 폐허에서 가진 자와 없는 자, 배운 자와 무식한 자, 권세와 명예를 누리는 자와 그렇지 못한 자의 구별이 있던가. 일찍이 부처님께서는 태자 시절 온갖 부귀와 영화, 넘치는 소유, 장차 왕위가 보장된 그 모든 것을 가졌지만 진정한 삶, 영원한 행복을 찾기 위해 이 모두를 포기하지 않으셨던가. 이번 중국의 대 참사는 인간에게 과연 무엇을 취하고 무엇을 추구하며 살아야 할 것인가를 다시 한번 일깨워 준 것이다.

김형춘 香岩 (반야거사회 회장 창원전문대 교수) 글. 월간반야 2008년 6월 제91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