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합중국 건국 232년 만에 첫 흑인 대통령으로 47살의 연방 상원의원 ‘버락 오바마(Barak Obama)’가 당선되었다. 지구촌의 경찰국가로 화려하게 포장된 초강대국 미국이지만 인종갈등과 패권주의로 점철된 그들의 역사도 문제지만 현실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슬럼화와 제국주의, 비인간적 폭력 등 이해하기 힘든 면이 더 많은 나라다.
그런 사회 속의 오바마 당선자 또한 케냐인 아버지와 백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고, 2살 때 부모의 이혼, 6살 때 어머니가 인도네시아인과 재혼하여 4년 간 인도네시아에서 살았고, 다시 청소년기를 하와이에서 보냈는가 하면, 컬럼비아대학과 하바드에서 정치와 법학을 공부하고는 시카고에 정착하여 사회복지활동을 하면서 주 상원의원 4선, 초선 연방상원의원으로 활약하다 일약 제 44대 미합중국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으니 그의 말대로 상상을 뛰어넘은 ‘변화와 혁신’이 일어난 셈이다.
그의 대통령 당선은 ‘서브 프라임 사태로 비롯된 금융위기, 변화와 개혁을 갈망하는 미국의 민심 반영’에다 워싱턴 정가에서 이 신인을 키운 것은 ‘8할이 명 연설’이라고 평하는 사람도 있다. 어쩌면 가장 큰 요인은 지난 8년 간의 ‘오만과 독선과 무모함과 실패로 얼룩진 미국’이 오바마 당선의 일등 공신이라는 표현이 맞을지도 모른다.
다양한 요인들 가운데서도 미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 신화를 일구어 낼 수 있었던 데는 대중의 마음을 사로잡는 그의 뛰어난 연설이 한 몫을 했다고 한다. 워싱턴의 정치무대가 낯선 초선 상원의원으로서 당내 기반도 취약했던 정치 신인으로서는 내로라 하는 정치거물들과 대적하는 데는 최고의 무기가 ‘말’이었을 것이다. 그의 이름을 알리는 중앙 정치무대 데뷔의 계기는 2004년 7월 보스턴 전당대회 연설이었다고 한다. 당시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선출된 ‘존 케리’의 배려로 기조연설을 맡은 오바마는 ‘희망의 담대함’이라는 명 연설로 진한 감동을 남긴 것이다. “진보적인 미국과 보수적인 미국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미합중국이 있을 뿐입니다. 흑인의 미국, 백인의 미국, 라틴계 미국, 아시아계 미국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미합중국이 존재할 따름입니다.” 이후 오바마는 그 해 11월 연방상원의원으로 진출했고, ‘변화와 통합, 이상과 희망’이라는 평범한 단어를 통해 미국의 가치와 미래를 강조하는 그의 열정적인 연설이 미국 유권자를 정치의 장으로 끌어들여 ‘오바마니아’를 양산하는 밑거름이 되었다고 한다.
모두의 예상을 뒤엎고 ‘힐러리 클린턴’과의 경선에서 승리한 후 지난 8월 콜로라도 덴버에서 가진 민주당 대통령 후보 수락연설에서 “우리가 마주칠 도전들은 힘든 선택을 요구하는 것으로 공화당원 뿐 아니라 민주당원들도 낡은 사고방식과 과거의 정치를 던져버려야 합니다. 지난 8년 간 우리가 잃은 것은 임금 손실이나 무역손실의 증가 뿐 아닙니다. 우리는 공동의 목표에 대한 인식도 잃어버렸습니다. 이 목표에 대한 인식이 우리가 회복해야 우선 과제입니다.”라고 호소하며 미국인의 감성에 호소하였던 것이다. 대선 본선에서는 공화당의 ‘세라 페일린’ 부통령 후보가 자신의 구호인 ‘변화’를 들고 나오자 ‘돼지 립스틱’ 발언으로 오바마 답지 못하다는 평도 들었지만, 선거일 직전에 돌아가신 외할머니의 타계소식을 듣고는 “할머니는 전 미국의 조용한 영웅들 가운데 한 분이셨습니다. 이름이 신문에 실리지는 않지만 그분들은 매일의 일상 속에서 열심히 살아가고 있습니다”라고 시작하는 눈물의 명 연설로 대중적 인기의 절정을 이루었다고 한다.
이처럼 오바마의 연설은 한결같이 평범하고 쉬운 말로 이어졌고, 일관된 주장과 ‘변화, 개혁, 통합, 이상, 희망’ 등의 어휘 위주였으며, 청취자들의 감성에 호소하는 내용으로 보였다.
그러나 정작 중요한 것은 말이 아니고 그가 어떤 사고와 행동을 하느냐가 중요할 것이다. 어려서부터 문화적ㆍ인종적 다양성을 체험하고 이를 하나로 결집시킬 수 있는 강점의 소유자에다 탁월한 연설력을 바탕으로 정치적 무관심 계층에게 미국 사회의 문제점을 지적하여 개혁적인 이미지를 확고히 부각시키는데 성공했으니, ‘변화, 개혁, 통합’의 정치를 하여 미국인의 자존심 회복 뿐 아니라 전 세계의 정치사에 하나의 신선한 충격을 주길 기대할 뿐이다.
일찍이 부처님의 전도선언(傳道宣言)에서도 많은 사람들의 이익과 행복을 위하여 처음도 좋고, 중간도 좋고, 끝도 좋으며 뜻과 문장이 훌륭한 법을 설하라”고 하셨으니 예나 지금이나 말이 인간사회에서 갖는 힘이야 더 말해 무엇하랴.
香岩 김형춘 (반야거사회 회장, 창원전문대 교수) 글. 월간반야 2008년 12월 제97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