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금강정경(金剛頂經) – 만다라의 세계

우주적 관점서 ‘즉신성불’ 주장
대일경과 함께 밀교 근본경전

인도에서 8세기 이후의 밀교는 거의 <금강정경>에 의해 전파되었는데 이와 더불어 <반야경>과 <진실섭경>계통을 잇는 <반야이취경>이 차츰 형성되고,그 후 증광(增廣)되어서 인도와 티베트 등에서 수많은 주석서가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금강정경>계통의 밀교는 인도밀교를 이어받은 티베트밀교의 기초가 되고 있습니다.

<금강정경>의 갖춘 경명(經名)은 <금강정일체여래진실섭대승현증대교왕경(金剛頂一切如來眞實攝大乘現證大敎王經)>인데 줄여서 <금강정대교왕경> 또는 <금강정경>이라고 합니다.

산스크리트 원전을 비롯하여 티베트본과 세 종류의 한역본이 현존하고 있는데, 한역본 중에서는 시호(施護)의 번역본은 범본·티베트본과 내용이 거의 일치하고 있습니다.

이 경전의 전래담에 의하면 중인도의 금강지(金剛智)삼장이 당나라로 건너올 때 경을 가지고 오려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고, ‘금강정부(金剛頂部)’의 경전 18회(會) 가운데 그 제1회에 속하는 부분만을 그의 제자인 불공(不空)삼장이 갖고 와서 번역한 것입니다.

이 경전은 제1회에는 네 품이 있고 그 첫째품인 ‘금강계품’에 여섯 가지 만다라가 서술되어 있는데 맨 처음의 ‘금강계만다라’를 역출한 것이 바로 <금강정경> 3권입니다.

그러므로 <금강정경>은 좁은 의미로 말할 때는 “초회금강정경(初會金剛頂經)”이라고 불리는 <진실섭경(眞實攝經)>을 가리키고 있으나, 넓은 의미로 말할 때는 18회 10만송(萬頌)의 광본(廣本)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이 광본은 의궤(儀軌)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7세기 말경에 성립한 것으로 추정되고, 남인도를 중심으로 8세기 후반부터 유행하기 시작하여 급속도로 발전하였습니다.

<금강정경>은 <대일경>과 함께 밀교의 근본사상을 설하는 근본경전입니다. <금강정경>의 내용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대일경>과 대비하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대일경>이 본질적인 부분에서 자량(資糧)의 집적(集積), 즉 구체적인 행위와 양적인 축적을 성불의 필수 조건으로 하는 업(業)의 논리에 바탕을 둔경전이라고 본다면, <금강정경>은 우주적인 관점에서 궁극적 실재와 개적(個的) 존재로서의 자신과의 즉사적(卽事的) 합일의 논리인 즉신성불(卽身成佛)을 주장하는 경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좀더 친근한 비유를 든다면, <대일경>은 순례자의 종교형태와 같은 입장이고, <금강정경>은 명상자를 위한 종교형태의 전형이라고나 할까요. 이 두 경전만이 가지는 이러한 형태는 만다라에도 반영되어 있습니다.

<대일경>의 만다라는 중앙부분이 밝고 주변으로 갈수록 어둡게 처리되는 다중(多重)의 동심원(同心圓)으로 표현되고 있는데, 이 원(圓)은 우리들 삶의 전 과정, 즉 초발심에서 현등각에 이르는 삼아승지겁에 걸친 자량집적의 과정, 또는 여실지견의 자심(自心)을 알기 위한 실천적 노력의 과정을 담고 있습니다.

이러한 도정(道程)은 마치 만다라의 중심에서 빛나고 있는 비로자나를 향해서 계속 걸어가야 할 의무 같은 것을 짊어지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우리가 걷기를 계속하는 한, 비로자나의 삶을 살아가는 것이 되고, 또한 우리의 주체적인 결의로 비로자나가 존속하는 것이 되기도 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신행의 걸음을 멈춘다면 그 순간에 비로자나는 소멸되어 버리기 때문에 이러한 행위를 <대일경>에서 업수(業壽)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금강정경>의 만다라는 이와는 대조적으로 주위의 암흑과는 두드러지게 대조를 이루는 순백의 원형으로 표현되며, 내부에 어떤 명암의 변화도 없습니다. 그러면서 인간은 이 원 바깥에 있으면서 자기에게 외적인 존재인 이 만다라 전체와 즉사적(卽事的)으로 합일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즉신성불이며, 순백뿐인 원형의 만다라 그 자체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금강정경>에서 우리들 인간의 구조는 백지로 환원됩니다.그래서 인간은 진언을 외우는 입과, 인(印)을 짓는 손과, 올바른 생활규정의 삼매야를 관정하는 마음만 있으면 그것으로 충분하다고 합니다. 즉 밀교에서의 최후 귀착점은 만다라로 들어가는 일입니다.

그리하여 아무리 악한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일단 만다라에 들어가기만 하면 곧바로 성불할 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금강정경>에서는 만다라에 들어가는 중생들의 근기(根機)를 문제 삼지 않습니다.

이리하여 현교에서 말하는 ‘모든 중생은 불성을 갖고 있다'(일체중생실유불성一切衆生悉有佛性)는 교설을 밀교에서는 ‘만다라’라고 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입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