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어느 민족의 역사에서나 가장 드라마틱한 장면은 전쟁을 승리로 이끈 장수의 이야기나, 난세에 천민 출신으로 공을 세워 귀족의 반열에 오른 인물의 일대기가 주류를 이룬다. 우리 역사에서도 안시성의 양만춘이나 을지문덕 장군이 그러했고 김유신이나 강감찬 장군,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그러했고 고려조의 무신 이의민이나 동의보감을 쓴 명의 허준 등이 그러했다.
인간의 욕망 중에서 가장 흔하고 보편적인 명예나 권세, 부를 얻는 것은 모두가 자기 개인이나 가문의 신분상승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사회계층 속의 신분상승은 안정된 사회에서나 선진 사회에서는 급작스레 이루어지지 않는다. 현실적으로 어지러운 난세나 후진 사회에서는 신분의 급상승이 가능한 것이다.
요즈음이라고 별로 다를 게 있을까. 옛날처럼 반상의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옛날의 과거에 준하는 사법·행정·외무 고시를 통해 고급관리가 되면 세칭 출세를 하는 것이고, 대통령은 물론 국회의원이나 광역 단체장 등 선출직 공무원들이 당선만 되면 신분 상승이 되어 어깨에 ‘기부스’를 하게 된다. 또 사업을 하여 재산을 모으면 금력으로 권력을 사서 마구 휘두르는 것으로 신분이 상승되었음을 과시한다. 그런가 하면 금력을 바탕으로 고급 관리 또는 선출직 정치인들과 혼인을 맺어 신분 상승을 꾀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체육계나 연예계 등에서 인기가 오르면 부와 명예를 함께 누리게 되어 신종 상류층이 형성 되고 있다. 여기에서 연예계 비리가 싹트고, 국가대표 선수 선발에 의혹이 불거지고 히딩크 감독이 그 반사 이익을 본 것이다.
오늘날 우리 사회의 거의 모든 문제는 사람들이 자기의 신분을 급상승시키고자 하는 욕망에서부터 비롯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게다. 고시에 합격하고 의사가 되기 위해 일류 대학의 좋은 학과에 진학하기 위해 과열 입시지옥이 생겼고, 이로 인해 고등학교·중학교·초등학교 교육이 줄줄이 파행으로 치닫게 된 것이다. 국회의원 등 선출직 공무원은 몇 번을 떨어져 빚더미에 올라 앉았다가도 한번 당선만 되면 모든 것이 해결되어 부와 권세와 명예를 누리게 되는 현실이니, 정치병에 걸린 사람들만 탓할 수 있는가. 자본주의 사회가 급기야는 황금만능에 이어 배금주의에 까지 이르렀으니 누가 기업윤리에 연연하며, 정경유착을 나무라고, 경제사범들의 뻔뻔스러움을 나무라겠는가.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돈만 벌면 모든 것이 해결되는 현실이 아닌가. 거기다가 나라에서 앞장서서 사행심을 부추기는 경마·경륜·복권 등을 조장하니, 일확천금을 꿈꾸는 무지한 백성들만 중독증세가 더해 가고 있다. 그러나 ‘한번만, 딱 한번만’ 내게 행운이 따라 준다면 모든 것이 해결되고 내 신분은 일약 상승되니까.
세속적인 우리의 모든 노력이 크게는 정치나 경제·문화·교육에 이르기까지 개인이나 가문의 신분 상승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까, 사회의 제반 문제가 해결되기는 커녕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이제는 좀 차원을 달리 하여 세속적인 욕망에 사로잡히기보다는 정신적인 영원한 행복을 찾고 맛봄이 어떨까.
김형춘 글 / 월간반야 2002년 8월 (제2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