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이라는 말을 글의 제목으로 내세우기가 조금은 껄끄러워 ‘생명의 불가역적 상실’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쓴 것이지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 지난 6월 초순 서울의 한 대학에서는 ‘죽음학’을 학문적으로 일궈 내겠다는 뜻으로 ‘한국죽음학회’가 창립기념학술대회를 가졌다고 한다. 과연 죽음이라는 미시의 영역이 학문으로 정립될 수 있는 것일까. 이날 학술대회에는 철학ㆍ종교학ㆍ신학ㆍ사회복지학ㆍ보건학 관련분야의 교수들이 나름대로 죽음에 대한 견해들을 쏟아 놓았다고 한다.
죽음학은 왜 필요하고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가. 사실 죽음에 대한 글은 논리에 자신을 싣기 어렵고 논리를 뒷받침할 만한 실증을 확보할 수 없기에 어려움이 있다. 누가 죽음을 경험해 본 사람이 있어야 말이지. 하지만 죽음은 불가피하고 모두가 접하면서 느끼고 예상하고 상상하지 않는가. 인간에게 죽음은 생리현상이고 경제현상이며 사회적 현상이고 이 모두를 포함한 문화현상이다. 그러기에 이 학회의 회원들은 모든 죽음에 대한 담론의 기초를 제공해야 한다고 죽음에 대한 학회를 만든 것이다.
인간은 태어나서 자라고 성숙해지고 급기야는 노쇠하여 죽게 된다. 이렇게 삶과 죽음은 모든 인간의 운명이 지닌 정상적 궤도이다. 그런데도 일찍이 성인 공자는 제자인 계로의 죽음이 무어냐는 물음에 ꡒ사는 것을 제대로 모르는데 어찌 죽음을 알겠느냐ꡓ라고 하였다니 죽음의 의미는 쉽게 단정 지을 일이 아니다.
‘죽음’에 대한 사전적 의미는 ‘생명활동이 정지되어 원 상태로 돌이킬 수 없는 상태’ 또는 ‘생물이 생명을 불가역적(不可逆的)으로 잃은 상태’라고 한다. ‘생명의 불가역적 상실’은 ‘인생무상(人生無常)’과도 이어지는 느낌이다. 의학이 발달하여 평균수명이 아무리 길어져도 사람은 반드시 죽는다. 그러나 사람들은 자기의 죽음을 체험할 수는 없고, 단지 다른 사람의 죽음을 통해 간접적으로 죽음을 생각할 따름이다. 또한 그 죽음이 언제 올지 아무도 모른다. 그러면서도 죽음에 대한 주체적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는 것은 죽음이 ‘삶의 부정(否定)이며 삶을 뒤집은 것’이기 때문이다. 죽음에 대한 뜻을 묻는 것은 삶의 뜻을 찾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사실이다. 죽음이라는 사실을 자각하면 동시에 사람은 살아 있는 뜻을 파악하고 반성하여 본래의 자신과 그 삶의 목적을 주체적으로 스스로에게 물어볼 것이다. 그리하여 삶과 죽음의 문제를 전체적ㆍ통일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생사관(生死觀)’을 일체화 시켜 삶에 보다 깊은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부처님께서는 죽음이란 인간으로서 피할 수 없는 현실이지만 깨달음을 통해 실상을 초월하는 보다 높은 차원의 진리를 체득함으로써 극복된다고 하셨다. 우리의 궁극적 인식인 ‘생사즉열반(生死卽涅槃)’을 바르게 인식하여, 죽음을 마음의 문제로 귀결시키고 나아가 ‘적정(寂靜)’ 즉 ‘열반(涅槃)’의 경지에 이를 때 저절로 해결되리라 믿는다.
지난달에는 우리 가까이 계시던 ‘석거사’께서 유명을 달리 하셨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빌며, 유족들에게 이 지면을 빌어 깊은 슬픔의 뜻을 표한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김형춘 香岩 (반야거사회 회장) 글. 월간반야 2005년 7월 제56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