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신주의(物神主義)에로의 질주

내가 근무하는 직장과 바로 이웃하여 ‘창원컨벤션센터(CECO)’ 가 있다. 학교의 후문과 CECO의 출입구가 같기에 가끔씩 짜증스럽고 당황할 때도 있다. 예사로 생각하고 평상시에 다니던 대로 드나들다가 낭패를 당하는 경우가 더러 있었다. 큰길가에 펼침막이 많이 달려있어도 이런 행사가 있구나 하는 정도지 정확하게 날짜를 확인하지 않기 때문에 주차공간이 부족하여 온통 도로가 주차장이 되는 것이다. 어쩌다 외출하였다가 강의시간에 임박하여 들어오다가 차량들 속에 갇히게 되면 낭패를 당할 수밖에.

그런데 이런 성황을 이루는 행사가 계속되는 것이 아니기에 또 얼마간 시간이 지나면 잊어버린다. 그런데 CECO가 개관된 지 몇 년쯤 지나니까 ‘서당개 삼 년에 풍월을 읊듯이’ 행사 제목만 보아도 ‘정문으로 다녀야 할지, 후문으로 가도 괜찮을지’를 알게 되었다. 나름대로 어떤 행사에 인파가 많이 몰리는지 터득을 했다는 말이다. 대충 보면 건설 자재ㆍ자동화 기계ㆍ로봇ㆍ자동차 부품ㆍ해양조선 기계 등 산업현장과 관련이 있거나, 자주 있는 일은 아니지만 ㄹ모 가수ㆍㅈ모 가수나, 비보이 같은 팀들의 공연이 있으면 주변 일대가 괴롭다. 무슨 총회 행사나 세미나 등엔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한마디로 이 시대 이 사회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관심사를 그대로 대변해 준다. 앞의 행사들은 물질적 풍요 추구와 직결되며, 뒤의 행사들은 현실적 쾌락의 추구다. 이러한 경향이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고, 우리나라에만 나타나는 특별한 현상도 아니다. 그러나 이를 좀 거시적 관점에서 보면 이즈음 대학사회에서 일고 있는 ‘인문학의 위기’와 결코 무관하지 않은 것 같다.

십여 년 전부터 대학사회에서는 철학ㆍ윤리ㆍ역사ㆍ언어ㆍ종교 등을 전공하는 학과에 지원자가 줄고, 급기야 구조조정이라는 이름으로 학과가 통폐합되는가 하면, 인문학부로 모집하여 나중에 전공으로 나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위기의식을 느낀 교수들이 ‘인문학 위기선언‘을 하고, 전국 대학의 인문대학장들이 모여 성명서를 발표하는 등 인문학의 위기를 초래한 책임이 인문학적 정신과 가치를 경시하는 사회구조의 변화와 이를 주도해온 정부ㆍ정책당국에 있다며 대책을 촉구하기도 했다.

본래 인문학이란 보다 나은 인간다운 삶과, 이상적인 사회란 어떠한 사회인가라는 대답 없는 질문에 끝없이 도전함으로써 우리를 상상과 새로운 창조의 세계로 인도하는 것이다. 그러한 인문학이 세계를 통치하고 관리하며, 인류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주는 자리를 ‘과학-기술’에 내어준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물리적으로 인류 자체를 절멸시킬 수 있는 파괴력을 가졌기 때문에 ‘과학-기술의 득세’는 단순히 ‘인문학의 위기’를 넘어 인류를 더 큰 위기에 직면하게 한 것이다. 이쯤 되면 인문학과 자연과학을 통틀어서 지식 자체가 위기에 처했다고 하는 것이 옳겠다.

묵시론적인 미래를 향해 질주하는 초고속 열차에서 지식인들은 인간다움의 가치를 부정하고 오직 물질적 풍요와 쾌락만을 추구하는 지식의 연료를 계속 제공함으로써 파멸로 향하는 속도는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때로는 이게 아닌데 하고 고개를 갸웃거리면서도 미친 듯이 물신주의 방향으로 달려가고 있다.

이 물신주의의 초고속열차에 제동을 걸자가 누구냐. 인간다운 삶의 방향을 제시하고 살만한 사회가 어떤 사회인지를 소리높이 외칠 자가 누구냐. 천박하고, 실용적이고, 범용적인 것들을 버리고 정법을 찾는 수밖에.

김형춘 香岩 (반야거사회장·창원전문대교수) 글. 월간반야 2007년 7월 제80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