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보다 진품을 찾는 세상이라야

산업사회가 시작되고부터 자본주의가 발달해 물품의 소유욕구가 대단히 높아진 나머지, 좋은 물품을 갖는 것이 명예 못잖은 자기만족 내지 자랑이 되는 시대가 되었다. ꡐ소유냐? 존재냐ꡑ하는 에리히 프롬의 책이 나온 지가 이미 오래 되었지만 삶의 목적이 소유량을 늘려가는 데에 있는 것처럼 인식되는 것이 자본주의의 속성이 되어버렸다. 상업주의에 있어서도 고급 메이커라야 상권(商圈)의 우위를 차지하는 것은 당연시 되고 있다. 물질이 고급화 된다는 것은 상품의 질이 높아지는 것이므로 반기고 환영할 일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물질의 고급화가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라고 비례적으로 볼 수 없는 데서 문제가 생긴다. 오히려 반대로 물질에 지나치게 탐착할 때 정신적 오염이 더욱 심해, 삶의 질은 그만큼 타락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이 된다.

소위 명품족이라는 말이 생겨날 정도로 현대사회의 고급품 우선주의가 판을 치고 있으나 아무리 명품을 쓰고 사는 세상이라도 정신 수준이 따라가지 못하면 명품족이 얼마든지 하품족이 되어버리는 결과가 올 것이다. 명품이란 글자 그대로 이름난 물건으로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물품이지만, 이를 통해 다분히 허세를 부리려는 인간의 그릇된 사고방식이 숨어 있음을 잘 알아야 한다. 사실 내사 쓰는 물건이 질이 좋고 실용적이면 그것으로 사용가치는 충분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품을 선택하려는 선호도가 왜 그리 높은 것일까? 아마 그것은 소유했다는 자기 만족도가 자기 기분을 좋게 해 주는 이유에서일 것이다.

현대의 생리는 우상주의가 그 극을 이루어 어떻게 하면 사회적 지명도를 얻을 수 있는가 하는 데로 쏠리고 있다. 프랜시스 베이컨의 우상론에 나오는 바와 같이 종족의 우상에서 동굴의 우상으로, 다시 시장의 우상에서 극장의 우상으로 우상의 대상이 변해와 종교적이고 철학적이었던 고대나 근대의 우상과는 달리 사회적 우상이 되어버렸다. 사회적 우상이란 대중에게 어필하여 인기를 얻어 유명해지고자 하는 지극히 속된 욕구이다. 이것 때문에 자기나 자기 소유의 주가를 어떻게 하면 올릴까하는 것이 최대의 관심사가 되어, 필요이상의 선전과 홍보로 대중의 관심을 얻으려고 혈안이 되어가고 있다. 신문지 마다 광고용 전단이 끼어있지 않은 것이 없으며 거리마다 선전용 플래카드와 벽보들이 어지럽게 나부끼고 있다.

과장되거나 거짓된 홍보용어에 속고 사는 시대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우리 사회는 천박한 상업주의가 너무나 판을 치고 있다. 불교의 용어를 빌려 해석하자면 너무나 상(相)을 내면서 살고 있다는 말이다. 상없이 살라는 『금강경』의 가르침이 아예 무색해져 버린 판국이다.

이러한 폐단이 인간성 유린을 예사로 하고 물질적 이익추구에만 집중되어 물신론(物神論)을 만들어 내면서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건강을 염두에 두지 않는다. 정말 허풍으로 사는 세상 같고 거품 같은 세상이 되었다. 자칫 자기중심을 잃고 허둥대기 일쑤며 가만히 있으면 뒤떨어지고 소외된다고 생각하고 정관할 여유를 잃어버린다. 소박하고 순수한 모습이 없어지고 가식과 위선이 득실거리며 어디까지나 교언영색(巧言令色)으로 살려고 한다.

공자님도”교언영색은 어짊(仁)이 없다”는 말을 하였지만 어질지 못한 상태로 세상은 자꾸 조작만을 거듭하니 이것 또한 시대의 병이다. 사람이나 물건이 명품이 되려하고 명품을 만들려고 한다. 그러나 한번쯤 명품을 추방하고 차라리 진품을 찾으려는 사회적 운동이 일어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명품은 요란스럽고 시끄럽지만 별로 사람을 감동시키지 못한다. 비록 흥에 도취된 박수를 받겠지만 인기가 내려가면 그만인 것이다. 진품은 소박하고 무심하다. 누가 보아주지 않아도 외로워하지 않는다. 묵묵히 제할 일만 하고 있는 바보와 같다. 인기 떨어질 걱정은 아예 없다. 그러나 진품이라야 언젠가 남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유명하지 않아도 진품이 되면 언젠가 그 가치가 명품을 능가할 것이다. 그리고 인생도 진품에서 참된 행복과 기쁨이 찾아질 것이다.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5년 6월 제 55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