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심명(27) 만법을 똑같이 평등하게 보면 본래대로 돌아가느니라

만법제관(萬法濟觀)에 귀복자연(歸復自然)이니라.

만법을 똑같이 평등하게 보면 본래대로 돌아가느니라.

만법을 똑같이 평등하게 본다는 것은 제법의 실상을 보는 안목이 열려서 차별의 세계를 초월한 경지인데, 일미평등(一味平等)한 이치를 달관하여 분별심이 쉬어지면 모든 것이 자연스러우며 본래의 모습대로 나타나게 된다. 무상대도는 본래 진여의 세계이므로 만들어지는 세계도 아니며 없어지는 세계도 아니다.

불생불멸(不生不滅)인 진여의 본체에 돌아가는 것이 귀복이며, 본래대로의 회복이 저절로 이루어지는 것은 귀복자연이다. 잠을 깨고 나면 잠들기 이전의 상태로 돌아가는 것처럼, 분별망상이 없어지면 자성청정심(自性淸淨心)에 돌아간다. 따라서 도를 깨닫는다는 것은 본래의 근원으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심원(心源)에 복귀하는 것을 의미한다. “참마음(眞心)으로 돌아가라!”, “본성으로 돌아가라!”고 하는 말들은 자성청정심을 회복하라는 것이다.

민기소이(泯其所以)하야 불가방비(不可方比)라

그 까닭이 없어져서 견주어 비할 데가 없느니라.

진리의 본질은 인간의 의사표시에 의한 어떠한 영향도 받지 않는다. 달리 말하면 ‘도는 왜 있는가?’라고 할 때에 그 이유가 없는 것이다. 수도상(修道上) 있어서도 ‘도를 닦으면 왜 깨달아지는가?’라고 할 때에도 그 이유는 없다. 으레 그렇게 되는 것이요. 본래가 그렇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불교의 깨달음의 세계를 부사의해탈경계(不思議解脫境界)라고 한다. 이는 말로써 설명하고 생각으로도 헤아릴 수 없기 때문이다. 어떻게 비교해서 ‘이렇다 저렇다’고 설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처럼 진리 자체인 도는 논리적으로 이해할 수 없고, 사유심(思惟心)으로써도 상상할 수가 없다.

<원각경?에서는 “사유심으로써 여래의 원각경계를 헤아리는 것은 반딧불을 가지고 수미산을 태우려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묘법(妙法)은 참으로 불가사의하여 이런가 하면 이렇지 않고 저런가 하면 저렇지 않다. 이렇고 저렇지 않으면서 이러하고 저러하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