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현행원품 (21) – 중송분 3

<경문>

내 널리 삼세 모든 부처님을 따라 배워 속히 보리 이루게 하소서.

시방에 있는 모든 세계가 넓고 크고 미묘하게 장엄되고

모든 여래 대중들에 둘러싸여 보리수나무 아래 계시며

시방에 있는 모든 중생이 일체 우환 모두 떠나 항상 즐겁고

깊고 깊은 바른 법의 이익 얻으며 번뇌 없애 남김 없게 하소서.

내가 보리 위해 수행할 때에 일체중생 갈래 중에 숙명 이루고

항상 출가하여 청정한 계를 닦되 더럽히고 부수는 일 없게 하소서.

하늘이며 용과 야차 구반다들과 사람이며 사람 아닌 무리들에게

세상에 있는 중생들의 모든 말들을 모두모두 소리내어 설법하게 하 소서.

청정한 바라밀을 부지런히 닦고 보리심을 언제나 잊지 않으며

업장의 때를 죄다 모두 없애 버리고 일체 모든 미묘한 행 이루게 하 소서.

모든 혹업 및 마의 경계를 세간의 길 가운데 해탈을 얻어

마치 연꽃이 물이 묻지 않듯이 해와 달이 허공에서 머물지 않듯이 해

일체 악도 괴로움을 제거해 주고 일체중생 즐거움을 고루 주어서

티끌 같은 많은 수의 겁을 지내며 다함없이 시방에 이익 주리다.

<풀이>

보현의 행원이 이타의 원력이라는 것을 잘 알아야 한다. 그리고 대승의 자리(自利)는 소승의 자리와 다르다. 그것은 ‘이타’(利他)를 먼저 해서 그 이타를 통해서 자리가 내게 돌아온다는 점이다. ‘자미득도선도타’(自未得度先度他)라는 대승의 기치를 천명한 화엄경의 말은 자리보다 이타를 우선한다는 것을 명시해 놓은 것이다. “스스로를 제도하지 못했더라도 남을 먼저 제도하자.”는 기치, 이 기치 하나로 세상의 평화와 안녕을 성취할 수 있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내가 남을 제도하려할 때 내가 제도된다는 말이다. 사실 이기적 독선을 추구하는 기도는 대승의 기도가 될 수 없다. 또한 대승의 기도가 아닌 것은 진정한 기도가 아니다. 자신의 행운만 바라는 것은 그야말로 사행심이다. 사행심으로 행원을 실천할 수 없는 것이다. 자신을 구원해 달라는 기도보다 내가 남을 구원할 수 있는 사람이 되게 해 달라는 기도가 더 차원 높은 기도다.

티끌 같은 많은 수의 겁을 지나도록 온 세상에 이익을 주겠다는 광대한 원력이 바로 사람의 마음속에 본래 갖추어진 공덕의 양을 말하는 것이다. 인간의 마음속에 갖추어진 무한한 공덕의 양을 누가 최대한으로 발휘하고 사느냐에 따라 보살이 되는 것이다. 보현과 같은 ‘원의 왕’이 마음속의 공덕주임을 자각해야 한다. 공덕의 주인공이 ‘원의 왕’이다. 본래 내 마음의 진실하고 한결같은 진여심(眞如心)이 그대로 공덕주였고, ‘원의 왕’임에도 불구하고 업의 장애 때문에 탐․진․치 삼독 때문에 공덕주의 지위인 ‘원의 왕’의 지위를 잃어버린 것이다.

불교의 사상을 ‘복귀 사상’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다. ‘복귀’란 본래대로 회복하여 돌아간다는 뜻이다. 본래는 나쁜 업에 물들지 않았는데 어쩌다 물이 들었으니 오염되지 않았던 본래대로 돌려놓자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오염된 마음을 정화하자는 것이다. 또 이런 비유가 경전 속에 자주 등장한다.

고향을 떠나 객지에서 유랑하면서 온갖 고생을 하는 어떤 사람이 있었다. 이 사람의 고통은 이루 말할 수가 없었다. 하지만 그가 고향에 돌아가기만 하면 그는 매우 편안하고 행복한 생활을 할 수가 있는 입장이었다. 그것은 고향에 있는 그의 부모가 큰 재력과 세도를 지녔기 때문에, 부모의 덕으로 아무 고생 없이 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안타까운 일은, 고향으로 돌아가는 길을 그가 알지 못한다는 점이다. 귀향하면 해결되는 문제를 돌아가지 못해 해결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원효 스님은 《기신론 소》에 서 ‘일심’의 근원으로 돌아가 넉넉히 중생을 이익되게 하는 것이 불교라 하였다. 어떤 경계에 집착하거나 불안하여 쫓기는 상태가 되면, 마음이 마음의 자리를 잃어버린다. 그렇게 되면 넉넉하던 정신 공간이 좁아져 여유가 없어진다. 번뇌와 망상을 따라 움직일 뿐, 자기 마음을 바로 보지 못하여 마음이 공덕의 주인 노릇을 못하는 것이다. 주인이 주인 역할을 못하면 집안 일에 지장이 생기고 다른 이의 침해를 받는 수가 생기는 것이다.

보현의 거룩한 행원을 다시 우러러 보자. 원하는 바 하나하나가 온 중생을 위해서고 온 세상을 위해서다. 뜻이 큰 사람은 자기 거처 공간이 넓어진다. 행원을 실천하는 사람은 온 우주 공간이 자기 집 안방에 불과한 것이다. 《채근담》에 ‘뜻이 큰 사람은 한 칸의 방도 넓다’는 말이 있다. 내가 사는 가옥의 평수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내가 가지고 있는 뜻이 얼마나 큰가가 중요하다. 가장 큰 뜻을 가지고 사람이 보현의 행자이다. 뜻이 작은 사람들은 언제나 사리사욕에 어두워 공간의 평수만 크게 차지하러 다투기 일쑤다. 내가 남에게 은혜를 베풀지 못하면 내 존재의 의미는 그만큼 감소되는 것이다.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6년 1월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