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때 부처님은 마가다국 남산에 있는 한 바라문촌에 머물고 계셨다. 바라문 바라드바자는 씨를 뿌리려고 밭을 가는 데에 오 백 자루의 괭이를 소에 메웠다. 부처님이 바리를 들고 그의 집으로 가셨을 때 그는 마침 음식을 나누어 주고 있었다. 음식을 받기 위해 한쪽에 서 있는 부처님을 보고 바라드바자가 말했다.
“사문, 나는 밭을 갈고 씨를 뿌립니다. 밭을 갈고 씨를 뿌린 후에 먹습니다. 당신도 밭을 갈고 씨를 뿌리십시오.”
부처님은 말씀하셨다.
“바라문, 나도 밭을 갈고 씨를 뿌리오. 갈고 뿌린 다음에 먹소.”
“그러나 우리는 지금까지 당신의 멍에나 호미 그리고 작대기나 소를 본 일이 없습니다. 그런데 당신은 어째서 나도 밭을 갈고 씨를 뿌린 다음에 먹는다고 하십니까? 당신이 밭을 간다는 것은 우리들이 알아듣도록 말씀해 주십시오.”
“믿음은 종자요, 고행은 비며, 지혜는 내 멍에와 호미, 부끄러움은 괭이자루며, 의지는 잡아매는 줄이고, 생각은 내 호미날과 작대기라오. 몸을 근신하고 말을 조심하며 음식을 절제하여 과식하지 않고 나는 진실로써 김을 매며, 온화한 성질은 내 멍에를 벗겨주오. 노력은 내 황소, 나를 안온의 경지로 실어다 주오. 물러남 없이 앞으로 나아가 그곳에 이르면 근심 걱정이 없어지오. 내 밭갈이는 이렇게 이루어지고 감로(甘露)의 과보를 가져오는 이런 농사를 지으면 온갖 고뇌에서 풀려나게 되오.”
이때 밭을 가는 바라문 바라드바자는 커다란 청동바리에 우유죽을 하나 가득 담아 부처님께 올렸다.
“고타마께서는 우유죽을 드십시오. 당신이야말로 정말 밭을 가는 분입니다. 당신 고타마께서는 감로의 과보를 가져다 주는 농사를 지으십니다.”
그러나 부처님은 이를 사양하였다.
“시를 읊어 얻은 것을 나는 먹을 수 없소. 이것은 바르게 보는 사람의 행동이 아니오. 눈뜬 사람들은 시*¹를 읊어 생긴 것을 받지 않았소. 오로지 진리에 따르는 것이 눈뜬 사람들의 생활 방법이오. 번뇌의 때를 다 없애고 나쁜 행위를 소멸해 버린 사람에게는 다른 음식을 드리시오. 그것은 공덕을 바라는 이의 복밭이 될 것이오.”
“그러면 고타마님, 이 우유죽은 누구에게 드려야 합니까?”
“신, 인간, 사문, 바라문을 포함한 여러 중생 가운데서 완전한 사람(如來)과 그의 제자를 제외하고 이 우유죽을 먹고 소화시킬 사람은 아무도 없소. 그러니 이 우유죽일랑은 산 풀이 적은 곳에 버리시오.”
바라드바자는 그 우유죽을 생물이 없는 물 속에 쏟아버렸다. 그런데 그 우유죽은 물 속에 버려지자마자 부글부글 소리를 내면서 많은 거품을 내뿜었다. 이때 바라드바자는 모골이 송연하여 두려워 떨면서 부처님 곁에 다가섰다. 그리고 부처님 발 밑에 끓어 앉아 말했다.
“놀라운 일입니다, 고타마님. 마치 넘어진 사람을 일으켜 주듯이, 덮인 것을 벗겨 주듯이, 길 잃은 이에게 길을 가리켜 주듯이, 혹은 ‘눈이 있는 자 빛을 보리라’하여 어둠 속에서 등불을 비춰 주듯이, 고타마께서는 여러가지 방편으로 진리를 밝혀 주셨습니다. 저는 고타마 당신께 귀의하고 진리와 그것을 수행하는 스님들의 모임에 귀의합니다. 저는 당신 곁에 출가하여 완전한 계율*2을 받겠습니다.”
밭을 가는 바라드바자는 이렇게 해서 부처님 곁에 출가하여 완전한 계를 받았다. 그후 얼마 되지 않아 사람들을 멀리하고 홀로 부지런히 정진하여 마침내 더없이 청정한 행의 궁극-많은 사람들이 바로 그것을 얻기 위해 집을 떠나 수행하는 것인데-을 스스로 깨달았다. 그리하여 그는 성인의 한 사람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