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혜 스님
대혜 스님(1089-1163) 속성은 해씨(奚氏)이다.
송나라 고종원우(哲宗元祐)4년 11월 10일에 태어났다.
그 어머니는 꿈속에서 신이(神異)한 모습을보았다고 하였다.
13세 때에 향교에서 친구와 함께 장난을 치다가 스승의 사모(帽)를 망가뜨려 변상해주고 집에 돌아와서,”대장부가 세간의 책을 읽는 것보다는출세간의 법을 연구하는 것이 더 낫겠다.” 라고 생각하고 그때부터 출가를결심하였다.
16세에 어머니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출가하였다. 동산(東山)의혜운원(慧雲院)에 가서 혜제(慧濟)에게 삭발하고 17세에 구족계를 받아 비구승의 자격을 갖추었다.
그로부터 편역(遍歷)하면서 제가(諸家)의 어록을 열람하였다.
특히 운문(雲門)과 목주(睦州)의 어록을 애독하였는데, 선종 5가의 분파가 있다는것에는 승복하지 않고 ‘5가의 종파도 모두 하나의 달마(達磨)에서 비롯된바 왜그리 많은 구분을 짓는가’라고 생각하였다.
대혜는 설매(雪賣)의 송고염고(頌古拈古)를 비롯하여 널리 고로(古老)의공안을 탐구하였다.
그리고 대양산(大陽山)의 원수좌(元首坐), 동산(洞山)의 미화상(微和尙). 견시자(堅侍者) 등에게서 조동(曹洞)의 종지를 배웠다.
조동종(曹洞宗)은 면밀한 종지로서 전하고 계승(傳承)하는 것을 중요히여겼는데 여기에 대하여 무엇인가 대혜의 성격에 맞지 않는 것이 있었다.
그래서 ‘선(禪)이 전하고 받음으로서(傳受) 가능하다면 어찌 자증자오(自證自悟)의 법이 있을 수 있겠는가’라고 비난하였다.
21세 때 담당문준화상(湛堂文準和尙 : 直淨克文의 법제자)을 찾아갔다.
담당스님을 찾아가 자기가 아는 바를 남김없이 토로하자, 담당준 선사가대혜스님에게 말하였다.
“고상좌(고上座)여, 나의 선법을 그대가 일시에 이해하여 설법하라 하여도즉시 설법을 잘하고, 뿐만 아니라, 염고송고(拈古頌古)나 소삼보설(小參普說)할 것 없이 잘한다. 그러나 한가지 사실에 있어서 실오(實悟)가 아니다.
그대가 성성(惺惺)히 사량(思量)할 때는 문득 선(禪)이 있으나 겨우 잠들었을 때에는 문득 없어진다. 만약 이러할진대 어찌 생사를 당적하겠느냐?
대혜 스님이 대답하되,
“참으로 이것이 저의 의심하는 바입니다.”라고 하였다.
담당스님을 모시며 바른 불법을 공부한지 7년이 지나서 27세 때에 그의스승 담당문준 스님이 천화(遷化)하였는데, 유언으로 원오극근(圓悟克勤)선사에게 찾아갈 것을 권하였다.
문준이 남긴 이 말은 대혜의 생애에 결정적으로 중요한 계기를 가져다 주는말이 되었다. 대혜 스님은 문준과 같이 극문(克文) 문하에 있던 덕홍각범(德洪覺範)을 만나고, 다시 장상영(張商英)을 만나 묘희(妙喜)라는 법호와 담회(曇晦)라는 자(字)를 받았다.
34세 문준 스님의 유언을 생각하고 원오 스님을 찾아가려고 하였으나, 원오스님이 있는 장산(蔣山)이 너무 멀어 중간에 있는 태평사(太平寺) 평보융회하(平普融會下)에서 지냈다.
36세 원오스님은 경사천령사(京師千寧寺)를 관리할 것을 임명(任命)받게되었다.
37세 4월 드디어 천령사 회상을 찾아가 원오 스님의 지도를 받게 되었다.
원오 스님은 오조 법연(法演)의 제자로서 법연은 양기방회(楊岐方會)의 법을 잇고 있었기 때문에 원오 스님은 바로 임제종 양기파의적손이었다.
대혜 스님이 원오 스님에게 물었다.
“제가 생각하니 이 몸이 아직 깨어있을 때는 주재하여도 자못 수면할 때는 캄캄하여 주재가 되지 않습니다. 그런데 지수화풍이 분산(임종시)하여중고(衆苦)가 치연(熾然)히 일어날 때 어찌 회환전도(回換顚倒)되지 않겠습니까?”
원오 스님은 다만 손을 내 젖으며”그만하고 그만 하라.
다만 망상을 쉬어라. 그대가 지금 말하는 허다한망상이 단절 될 때에 그대 스스로 오매항일처(寤寐恒一處)에 도달하리라” 하였다.
처음 듣는 바라 역시 믿어지지 않아서 매일 스스로 발원하되 ‘내가 깰 때(寤)와 잠잘 때(寐)가 분명 둘이거늘 어찌 감히 입을 열어 선(禪)을 말하리오. 다만 오매항일이라는 부처님 말씀이 망령된 말이라면 내병을 제거할 것이 없지만, 부처님 말씀이 과연 중생을 기만하지 않는다면 이것은내가 아직 미달한 것이다.’
라고 반성하였다. 원오 스님을 모신지 42일이 경과한 5월13일(37세),스승의 승좌설법(陞坐說法)을 듣게 되었다. 원오스님은 그 설법에서”어떤 스님이 운문 스님에게 물었다. ‘어느 곳이 모든 부처님의 나온곳입니까?’운문 스님이 말하길’동산이 물 위로 가느니라(東山水上行)’라고대답했다. 그러나 나라면 그렇게 이야기하지 않겠다.
‘어느 곳이 제불(諸佛)의 출신처입니까?’하고 물으면 ‘훈풍이 스스로 남쪽에서 불어오니 전각이 서늘하다(薰風自南來 展閣微凉生)’라고 대답하겠다.”
그때 대혜 스님은 이 말을 듣고 홀연히 앞뒤가(前後際)가 끊어졌다.
마치 헝클어진 실타래를 예리한 칼로 한번 내리침에 모두 끊어진 것과 같았다.원오 스님은 대혜 스님에게 택목당(擇木堂)에서 일상사를 전폐하고오직 정진에만 힘을 쏟게 하였다.
이 때 바야흐로 꿈꿀 때(夢時)가 곧 깰 때(寤時)와 같고, 깰 때(寤時)가곧 꿈꿀 때(夢時)와 같음을 알게 되어 오매항일(寤寐恒一)이라고 한 부처님의 말씀에 대한 뜻을 알게 되었다. 나중에 이때 심경을 “이 도리는 타인에게 내보일(拈出) 수도 없고, 비슷하게라도 들어 낼(呈似) 수도 없으니마치 몽중 경계와 같아 취할 수도없고 버릴 수도없었다.” 라고 표현하였다.
* 오매일여는 마음이 쉬었을 때 저절로 찾아오는 현상이지 그것을얻으려고 애를 쓰면 오히려 오지 않는다. 대혜 스님은 원오 스님의설법을 듣고 일순간 깨달은 바가 있어서 일시에 모든 것이 놓아졌다. 그리하여 마침내 오매 항일을 체험하게 된 것이다.
그런데 오매항일은 깨달음 전이나 후에 오는 한 현상인데 한번체험하였다 하여 평생 그러한 것은 아니다. 깨달음 이후에도 수행은 계속 되어야 한다. 이것을 보림이라고 한다.
대혜 스님은 원오스님의 이 선정삼매를 보고 여기에서 깨어나게하였는데,그것은 일상생활을 하려면 마음을 한 곳에만 붙들어두고는 도저히 살아갈 수 없기 때문이었다.
서장의 다음 말을 보면 이때의 오매항일은 깨달음 직전에 나타났던한 현상이었던 것이 보다 확실해진다.
즉, 대혜 스님은 서장 이참정장에서 이참정이 깨달음을 얻은 것을칭찬하고 인정 하면서 이참정이 질문한 내용에 대하여 답하는 말미에 ‘이즉돈오 승오병소 사비돈제 인차제진(理卽頓悟 乘悟幷銷 事非頓除 因 次第 盡)’ 이라는 말을 좌우명으로 삼으라고 하였다.
즉, 이치는 단박에 깨닫는지라, 잘못된 견해는 깨달음과 동시에녹아없어지지만, 일상사에서 나오는 습관은 단박 제해지는 것이아니다. 순차를 밟아 다해진다.
라고 하여 이치는 금방 깨달아 다른 견해에 끌려가지 않지만, 일을당함에 있어서 구습(舊 習)은 금방 제해지는 것이 아니니 깨달음후에도 계속 진로(塵勞)를 제거해 갈 것을 권하였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