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당 나라 때 별명이 주금강 이라는 금강경의 대가 德山스님은 항상 금강경에 대한 연구서적과 논문을 가득 짊어지고다녔다.
남방에 어떤 사람이 見性 成佛을 주장하며 경전대신 ‘마음을깨달아야 부처다’ 하고 다닌다기에 그 말을 꺾어주려고 길을떠나 풍주 라는 지방에 닿자 점심시간이 되었다.
시장하던 터라 떡장수 노보살에게 떡을 팔라했더니”스님! 떡을 팔기전에 먼저 한가지 물어봅시다. 등에 지고있는 게 무엇입니까?”
“내가 평생 연구한 금강경에 관한 논문과 책들이지”노 보살이”그러면 금강경에 대해 하나 묻겠는데, 대답을 하시면 떡을그냥 드리고, 대답을 못하시면 이 동네에서는 떡을 잡수실수 없습니다.”
“좋다 금강경에 관한 모르는게 없어니 물어보아라”
“스님,금강경에’과거심 불가득, 현재심 불가득 미래심 불가득’이라했는데 스님께서는 방금 점심이라고 하면 과연 어느마음에다 점을 찍으시렵니까?”
(點心은 배고픈 생각을 없애기 위해 마음에 점을 찍는다는 뜻)
덕산스님은 땀만 뻘뻘 흘리며 답을 못찾고 그동네 에서는 점심을 굶게 되었는데, 그때 노 보살 떡장수가 하는 말이”스님! 금강경 연구만 하지 마시고, 용담스님을 찾아보시지요”
그래서 남방으로 향하던 발길을 돌려 용담(龍膽)스님 계시는절을 찾아가게 되었다.
함께 저녁공양을 든 후 여러 가지 이야기를 나눈 뒤 밤이 깊어덕산 스님은 객실로 가게되었다.
덕산 스님은 촛불을 들고, 신발을 찾아 신으려는 순간 용담스님이 갑자기 촛불을 확 불어 꺼버렸다
그 바람에 주위는 칠 흙같이 어두워졌는데, 그 순간 마음은확연히 밝아졌다고 한다.
덕산스님은 용담스님께 정중히 예베를 올렸다.
용담스님은 덕산 스님의 근기(根氣)를 환히 꿰뚫어 보고적절한 처방을 내렸던 것이다.
다음날 대중을 모아놓고 덕산스님의 大悟를 인정 해주면서자신의 법맥을 잇는 제자로 공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