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심결(修心訣) – 16.

수심결(修心訣) – 16.

의심의 뿌리가 끊어지지 않으면
생사의 세계에 자재로울 수 없다

雖先頓悟 煩惱濃厚 習氣堅重
수선돈오 번뇌농후 습기견중
對境而念念生情 遇緣而心心作對
대경이염념생정 우연이심심작대
被他昏亂 使殺昧却寂知常然者
피타혼란 사살매각적지상연자
卽借隨相門定慧 不忘對治 均調昏亂
즉차수상문정혜 불망대치 균조혼란
以入無爲 卽其宜也
이입무위 즉기의야

그러나 비록 먼저 깨달았다 하더라도 번뇌가 두텁고 습기가 무거워서 경계를 대하면 생각생각에 감정이 일어나고, 반연을 만날적마다 마음은 대상을 만들어 혼침과 산란에 빠져서 고요함과 아는 마음이 흐려지는 사람은 곧 상을 따라 수행하는 선정과 지혜를 빌려서 다스려야 함을 잊지 말고, 혼침과 산란을 고루 다스려 무위에 들어감이 마땅하다.

雖借對治功夫 暫調習氣
수차대치공부 잠조습기
以先頓悟心性本淨 煩惱本空故
이선돈오심성본정 번뇌본공고
卽不落漸門劣機 汚染修也
즉불락점문열기 오염수야
何者修在悟 前 則雖用功不忘
하자수재오 전 즉수용공불망
念念熏修 着着生疑 未能無
염념훈수 착착생의 미능무애
如有一物 在胸中 不安之相
여유일물 애재흉중 불안지상
常現在前 日久月深 對治功熟
상현재전 일구월심 대치공숙
則身心客塵 恰似輕安 雖復輕安
즉신심객진 흡사경안 수부경안
疑根未斷 如石壓草 猶於生死界
의근미단 여석압초 유어생사계
不得自在 故云 修在悟前 非眞修也
부득자재 고운 수재오전 비진수야

비록 대상에 따라 다스리는 공부를 빌려서 잠시 습기를 조절하지만 이미 마음의 본성이 본래 깨끗하고, 번뇌가 본래 비었음을 깨쳤기 때문에 점문의 열등한 근기에 물들은 수행에는 떨어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깨치기 전의 수행이란 비록 공부를 잊지 않고 생각생각에 익히고 닦지만 곳곳에서 의심을 일으켜 자유롭지 못함이 마치 한 물건이 가슴에 걸려있는 것 같아서 불안한 모습이 항상 앞에 나타난다. 그러다가 오랜 세월이 지나서 대상에 따라 다스리는 공부가 익으면 몸과 마음과 객관의 대상이 편안해진 것 같을 것이다. 그러나 비록 편안한 것 같으나 의심의 뿌리가 끊어지지 않은 것이 돌로 풀을 눌러놓은 것 같아서 오히려 생사의 세계에 자재로울 수가 없다. 그러므로 깨치기 전에 닦는 것은 참다운 닦음이 아니라고 하는 것이다.

悟人分上 雖有對治方便 念念無疑
오인분상 수유대치방편 염념무의
不落汚染 日久月深
불락오염 일구월심
自然契合天眞妙性 任運寂知
자연계합천진묘성 임운적지
念念攀緣一切境 心心永斷諸煩惱
염념반연일체경 심심영단제번뇌
不離自性 定慧等持 成就無上菩提
불리자성 정혜등지 성취무상보리
與前機勝者 更無差別 則隨相門定慧
여전기승자 갱무차별 즉수상문정혜
雖是漸機所行 於悟人分上
수시점기소행 어오인분상
可謂點鐵成金 若知如是
가위점철성금 약지여시
則豈以二門定慧
즉기이이문정혜
有先後次第二見之疑乎
유선후차제이견지의호

깨달은 사람의 입장에서도 비록 대상에 따라 다스리는 방편이 있지만 생각생각에 의심이 없어 번뇌에 물들지 않는다. 그리하여 오랜 세월이 가면 자연히 천진하고 묘한 성품에 계합되어 고요하고 아는 것이 자유롭고, 생각생각이 일체의 경계에 반연하면서도 마음마음은 모든 번뇌를 영원히 끊어버리되 자기의 성품을 떠나지 않고 선정과 지혜를 평등히 가져 무상보리(無上菩提)를 이루어 앞에 말한 근기가 뛰어난 사람과 다름이 없게 되는 것이다. 상을 따르는 수상문의 선정과 지혜는 비록 점차로 수행해야 하는 근기를 가진 자가 행하는 것이지만 깨달은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쇠로 금을 이루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만약 이렇게 안다면 어찌 자성문(自性門) 수상문(隨相門) 두 문의 선정과 지혜에 있어서 앞뒤의 차례가 있다는 두 가지 견해의 의심이 있을 수 있겠는가.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