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종의 하나. 『화엄경』을 근본경전으로 하여 세운 종파. 혹은 이 종의 교의를 조직하여 크게 이룬 현수의 이름을 따서 현수종(賢首宗)이라고도 함. 이 종은 중국 불교의 전성 시대에 삼론종 · 천태종 · 율종 · 정토종 등 여러 종파와 대립하여 통합적인 불교로서 성립됨. 두순(杜順)을 시조(始祖)로 하고, 제2조 지엄(智儼)을 거쳐서, 제3조 법장(法藏) 곧 현수(賢首)에 이르러 크게 세력을 떨쳤으며 다음에 징관(澄觀)과 종밀(宗密)이 계속 선양하였으므로, 이들을 중국의 화엄 5조로 하며, 또 인도의 마명(馬鳴)과 용수(龍樹)를 더하여 7조라고도 함. 그 뒤 중국에서는 선(禪)과 가까워지다가 점차로 쇠퇴.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문무왕 때 독창(獨創)한 원효(元曉)를 초조(初祖)로 하는 해동종(海東宗, 또는 芬皇宗)과 당나라에 가서 지엄의 종통을 전하여 온 의상(義湘)을 초조로 하는 부석종(浮石宗)이 있었으나, 후세에까지 오래 전해진 것은 부석종. 의상이 태백산의 부석사를 종찰(宗刹)로 하여 크게 홍통한 뒤를 이어, 승전(勝詮) · 지통(智通) · 무염(無染) · 혜철(惠哲) · 연기(緣起) · 도선(道詵) · 현준(賢俊) · 법인(法印) · 원융(圓融) · 지광(智光) · 대각(大覺) · 무애(無碍) · 계응(戒膺) · 보조(普照) · 우운(友雲) 등이 종풍을 선양. 일본에는 736년 당나라 도선(道璿)이 『화엄경』의 주석서를 전한 것이 처음이며, 740년 신라의 심상(審詳)이 처음으로 일본에서 『화엄경』을 강하였고, 다음에 동대사(東大寺)가 창건되어 일본 화엄종의 기초가 확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