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無)와 부처님○ 주변의 불자들에게 가장 많이 독송하는 경전을 꼽으라고 한다면 아마도 반야심경을 먼저 떠올릴 것이다. 그런데 260여 자에 불과 한 짧은 경전에서 우리는 무려 21개나 되는 무(無)자를 만난다. 감각 기관과 그 대상, 그리고 각 감각기관에 해당하는 여섯 가지 인식이 무(無)로 부정되는 것까지는 쉽게 받아들일 수 있다. 윤회로 들어가는 순관의 12연이 부정되는 것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불교의 기본 교리 가운데 하나인 사성제, 해탈과정인 역관의 12인연, 그리고 깨달음의 지혜까지 부정될 때 우리는 당황하게 된다. 철저한 무소득, 즉 이리 굴리고 저리 굴리고 아무리 굴려봐도 궁극적으로 얻을 바가 아무것도 없다면, 우리는 무엇을 위해서 불도를 닦아야 하 는가 하는 물음이 생긴다. 무(無)자는 반야심경에만 있지 않다. 모든 경전에 나타난다.단지 다른 글자가 같은 의미로 쓰일 뿐이다. 어떤 경전에서는 공(空)자로 대체되고 다른 곳에서는 불(佛)자로 바뀐다. 또 같은 글자가 사용되지 않더라도 전체 문맥이 무(無)자의 뜻으로 쓰이는 경우도 많다. 그렇다면 무(無)자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불법을 바로 아는 중요한 관문 가운데 하나가 될 것이다. 나는 선종에서 이 무(無)자를 가장 간단 명료하게 설파했다고 생각한다. (무문관) 제1칙으로 선보이는 조주선사의 무(無)자 화두를 보자. 한 수행승이 조주선사에게 “개에게도 불성이 있습니까?”하고 물었다. 조주선사는 무(無),즉 없다고 대답했다. 선종의 놀라운 예지는 무(無)자와 불성을 관련해서 생각했다는 데 있다. 대승의 4대 불경은 반야경, 법화경, 화엄경, 열반경이다. 반야경 을 제외한 세 불경에서 무량겁 전에 성불한 부처가 전제된다. 법화 경이나 열반경에서 석존은 새롭게 태어나거나 죽는 부처가 아니라, 이미 구원겁 전에 부처를 이루었으면서도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짐짓 몸을 보이고 거두는 화신을 뿐이다. 본래부처는 그대로 있다. 화엄경의 법신불도 지금 새롭게 만들어진 부처가 아니다. 본래 부처이기 때문에 산하대지 두두물물이 그대로 법신이 된다. `불성` 이라는 말은 우리가 없던 부처를 앞으로 만든다는 뜻이 아니라, 이미 이룬 부처를 알아본다는 뜻이다. 사람들은 이미 있는 것을 알아보려고 하지 않고 없는 것을 새로 구하려고 한다. 이미 있는 것을 알아보려는 사람은 자신 속에서 부처를 찾는 사람이고, 없는 것을 이루려는 사람은 밖에서 돈,명예, 권력 등을 얻으려는 사람이다. 자신 속의 법신 또는 부처를 알아보려는 사람은 평화를 얻을 수 있지만, 밖으로 구하려는 사람은 아무리 이루고 또 이루어도 만족은 없고 고단하기만 할 뿐이다. 반야경에 축약인 반야심경의 무(無)자는 불성 즉 본래부처를 전제로 할때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본래부처를 알아본다면 새삼스러운 해탈과정이나 깨달음의 지혜가 필요치 않다. 이미 얻은 상태에 있으므로 새롭게 얻으려고 할 것도 없다. 구하는 바가 없기 때문에 아무런 염려나 공포가 없다. 공 또는 무를 전제로 해서 본래부처 나 법신을 이해해야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본래부처 또는 불성을 전제로 해서 무(無)를 풀이해야 한다는 것이다. 조주선사는 같은 질문에 대해서 한때는 개에게 불성이 없다고 대답하는가 하면, 다른 때는 불성이 있다고 대답했다. 선의 공안을 의리선의 사구로 풀려고 하는 것이 방정맞고 무의미한 일이지만, 본래부처를 전제로 할 때 불성이 없다는 말이나 있다는 말이나 다 를 바가 없다. 어떻게 말하는가에 관계없이 본래부처는 항상 그 자리에 있기 때문이다. 효봉스님이 자주 외치던 무(無)소리가 지금도 귀에 들리는 듯하다. 나는 요즘 그 무(無)자에 몇 마디 더 붙이기를 좋아한다. “우리가 본 각 상태에 있기 때문에 일체의 인위는 피곤하기만 할 뿐 쓸모가 없다”고. 속된 잔꾀가 무(無)라는 말이다. -법주사 석
지명스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