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암스님─사람 양심이’부처’

■사람 양심이’부처’/ 송암스님 ■ 10년 전 어느 날 송암 스님이 주석하고 계시는 죽림정사 앞마당에 세 그루의 오동나무가 새순을 틔웠다.

누가 심은 것도 아닌데 건너 산에 있는 오동나무의 씨가 날아와 마당가에 나란히 세 그루가 자라기 시작했다.

누군가는 뽑아 버려야 한다고도 했지만 스님은 “저도 인연 따라 왔으니 그냥 두라”고 했다.

지금 죽림정사에 가면 한그루의 오동나무가 본래부터 그 곳에 있었던 것처럼 마당 한 켠에 우뚝 서 있다.

지나간 흔적을 좀체로 드러내지 않으며 인연에 순응하는 스님의 모습은 죽림정사 자연의 일부와도 같다.

“세 그루가 나더니 한 그루만 저렇게 남았어.

저 오동나무만 봐도 저마다 제 뿌리 제가 내리고 주위 환경과 어울려가며 스스로를 키워가야 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잖아.

저 나무는 십년 세월을 지내며 주위와 어울려 아름다운 풍경이 되었지.

사람 사는 것도 다르지 않아.” 오동나무는 분명 10년 전 어린 묘목을 거쳐 왔겠지만 지금은 지난 흔적을 모두 품어 현재의 모습만 우뚝하다.

송암 스님도 지나간 흔적을 좀체 드러내어 놓지 않으신다.

오로지 현재의 송암 스님만 있을 뿐이다.

오동나무보다 일 년 앞선 11년 전 죽림정사에 온 스님은 있는 듯 없는 듯 죽림정사에서 자연의 일부처럼 인연을 따라 응하고 있을 뿐이다.

그래서 송암 스님의 일상은 흐르는 물처럼 순조롭다.

5일, 10일 한 달에 두 번 장날만 버스가 들어오는 작은 시골마을이지만 불편함을 모른다.

“나가면 모두 내 차인데 뭐가 걱정이야?” 스님의 말씀은 늘 이렇다.

차가 들어오지 않는 날엔 15분 정도 걸어 나가 차를 탄다.

세수 팔순을 넘긴 스님의 건강법은 “내 몸에 내가 맞추는 것”이다.

좋은 약을 먹는다거나, 몸에 좋은 운동을 한다거나 부산을 떨지 않는다.

“오래 살려고도 하지 말고 빨리 죽으려고도 말고 가만있으면 돼.

가만히 있으면 되는 걸 무슨 걱정을 사서 해? 내가 내 몸을 살피고 내 몸이 하자는 대로 해주고 살면 돼.

스님의 일상에는 ‘가는 인연 잡지 않고 오는 인연 막지 않는다’는 순리가 그대로 녹아 있다.

몇년 전부터 함께 살게 된 개‘보리’와‘순둥이’가 그렇고 벌써 26년째 함께 살고 있는 거사님 한 분과의 인연도 그러하다.

‘이 생에서 나와 가장 인연이 깊은 사람이 아닐까’하고 생각한다는 그 거사님은 20년 동안 머물렀던 대운산 내원암에서 인연이 됐다.

뇌성마비를 앓아 제대로 걷지도 못하던 24살의 청년은 이제 50살의 거사가 돼 죽림정사의 소소한 일들을 챙기고 있다.

그 거사를 보면 사람들이 모두 놀란다.

뇌성마비를 앓았다고는 아무도 생각하지 않을 정도로 건강해졌기 때문이다.

처음엔 스님도 선천적으로 타고난 장애라는 말을 들어 그대로 지켜보기만 했다.

제대로 걸음을 걷지 못해 온 마당의 흙이 패이고 한쪽 다리가 땅에 부딪쳐 신발이 그 쪽만 찢어지는 것을 보다가 어느 날 문득 교정을 하면 나아지겠다는 한 생각이 일어났다.

비틀어진 다리를 교정하기 위해 대나무로 다리를 고정시켜 놓기도 하고, 걷는 연습도 반복하면서 조금씩 나아지기 시작했다.

그러던 어느 날, 해발 700m가 넘는 대둔산 산행을 따라나서더니 불편한 몸으로 기다시피 해서 산 정상에 오른 후 달라지기 시작했다.

“자신감이 생긴 거지.

상상조차 해 본적이 없는 산 정상에 올랐으니 스스로 마음이 달라지기 시작한 거야.

그 이후로 조금씩 달라져서 이제는 공부가 안된다고 하소연을 하는 보살님이 있으면 ‘기도하세요’라고 말을 할 정도가 됐으니….

허허허.

생각이 분명하고 나름대로 제 역할을 하면서 살고 있잖아.” 인연을 소중히 여겨 한 사람의 삶을 변화시킨 스님의 일상은 우주의 흐름을 바꾼 일처럼 위대해 보인다.

그러나 스님에겐 그저 인연을 따라 응했을 뿐인 평범한 일상이다.

“세상의 모든 것은 크든 작든 찌그러졌던 모두 조화를 이루게 돼 있다”며 스님의 왼편으로 놓인 병풍을 가리킨다.

스님의 은사이신 경봉 스님의 반야심경 글을 제자가 나무에 새긴 병풍이다.

글자 하나하나는 아무렇게나 쓴 것처럼 자유분방하지만 전체는 조화를 이루며 글이 살아 움직이는 듯 보이는 병풍이다.

병풍에 닿았던 눈길을 돌려 가만히 스 님의 방을 둘러보니 경봉 스님이 1977년 어느 이른 아침, 송암 스님을 위해 써 주었던 게송이 걸려 있고 스님이 눈길이 가장 닿기 쉬운 오른편 벽에는 경봉 스님의 사진이 높이 걸려 있다.

낮은 서탁 사이에는 경봉 스님 글씨를 모아 편찬한 책이 꽂혀 있다.

송암 스님이 마음 깊은 곳에 은사 스님을 모시고 살고 있음을 짐작케 하는 풍경이다.

“우리 스님 모시고 있던 시절이 참 좋았다는 생각이 들어.

지금은 우리 스님 뵙기가 죄송스럽기도 해.

허송세월 하는 것 같고.

지금도 니는 공부는 안하고 무슨 쓸데없는 소리를 그리 하고 있노? 하시겠는데.

하하하!” 스님이 좋아하는 일 중의 하나는 방에 앉아 앞산을 향해 난 창을 열어놓고 산을 바라보는 일.

앞산을 향해 난 작은 창문 위에는 ‘향성(香聲)’이라는 힘이 넘치는 글씨가 나무에 새겨져 걸려 있다.

스님이 직접 쓴 글씨다.

스님이 앞산 풍경을 좋아하는 이유는 그 속에 진리의 소리(香聲)가 여실히 담겨있기 때문이다.

“보고 있으면 아름답지 않는 게 없고, 부처님 아닌 게 없어.

그리고 고맙지 않은 게 없고.

그 심정 누가 아노?” 세상 만물의 본바탕을 보는 스님의 심안(心眼)을 누가 짐작하랴? “세상 만물은 아는 만큼 보이게 마련이야.

낮에는 낮대로 밤에는 밤대로 얼마나 아름다운지.

밤에 창을 열어놓고 있으면 저 산이 날개를 활짝 펴고 날아오를 것 같아.

세상 만물이 모두 고맙고 정말 아름다워.” 어떻게 하면 세상이 아름답게 보일까? “집착을 떨구면 그렇게 돼.

딴 짓 하지 말고 부처님 하라는 대로 하고 살면 돼.” 결국 내가 세상이다.

내가 마음을 바꾸면 세상도 바뀐다.

아름다운 세상을 살고 싶으면 세상의 아름다운 진면목에 눈을 뜨라.

송암 스님을 뵙고 돌아오는 길, 세상은 사라지고 나 홀로 우뚝했다, 죽림정사의 오동나무처럼.

글=천미희 기자ㆍ사진=박재완 기자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