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연히 콧구멍이 없다는 소리 듣고

홀문인어무비공 忽聞人語無鼻孔 홀연히 콧구멍이 없다는 소리 듣고

돈각삼천시오가 頓覺三千是吾家 몰록 온 우주가 내 집인 줄 알았네.

유월연암산하로 六月 岩山下路 유월의 연암산 아래 길에

야인무사태평가 野人無事太平歌 하릴없는 들사람 태평가를 부르구나.

이 시의 작자 경허(鏡虛)선사(1849~1912)는 한말의 어지러운 때를 산 고승이지만, 불교 특히 선불교를 중흥시킨 선사로 추앙받는 스님이다. 속성은 송(宋)씨이며 전주출신이었다. 9세에 출가하여 은사인 계허(桂虛)스님 밑에서 지내다가 마을의 선비에게 한학을 공부하여 나중에 불교 경론을 익힌 뒤, 22살에 동학사의 강사가 되어 학인들을 가르쳤다.

30살 때인 어느날 은사인 계허스님을 만나러 한양을 가다가 심한 폭풍우를 만났다. 가까운 인가를 찾아가 비를 피하려 하였으나, 마침 돌림병이 퍼져 어느 집도 문을 열어주지 않았다. 할 수 없이 마을 밖 큰 나무 밑에서 밤을 새며, 병에 걸려 죽을지 모른다는 죽음의식에 시달리다가, 생사를 해결하지 못한 자신의 본분공부를 자각하고 다시 발심하는 계기를 얻었다.

동학사로 되돌아 온 그는 학인들을 해산시킨 후, 방문을 걸어 잠근 채 문 밑으로 주먹밥을 넣을 수 있는 구멍을 만들고, 목 밑에 송곳을 꽂은 널빤지를 바쳐 놓고 졸음을 쫓으며 용맹정진을 시작 했다. 그리하여 세 달이 지난 어느 날 “시은(施恩)만 지고 도를 이루지 못한 중이 죽어 소로 태어나되 코 구멍이 없이 태어난다”는 말이 무슨 뜻이냐고 묻는 제자 원규(元奎)의 말에 오도(悟道)를 했다. 그때 지은 시다. 말하자면 경허 스님의 오도송이다.

그 후 그는 제방에서 선을 지도하면서 선의 생활화와 일상화를 모색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때로는 파격적인 행동을 서슴지 않아 역행의 대명사로 불릴 정도로 많은 일화를 남겼다. 문둥병에 걸린 여자와 동침을 했고, 여자를 희롱하여 몰매를 맞기도 했으며 술에 만취하여 법당에 오르는 등 숱한 기행을 보였다. 만년에는 절을 떠나 봉두난발하여 거짓 가명을 쓰면서 촌락을 다니며 무애행을 보였다. 또 다시 유관(儒冠)을 쓰고 훈장이 되어 서당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다가 64세의 일기로 1912년 4월 25일에 입적했다.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4년 6월 제43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