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득한 옛날 농사를 처음 짓기 시작할 때였다. 여기저기 떠돌아다니면서 나무 열매나 잎을 따먹고 사냥이나 고기잡이를 하면서 살다가, 물 좋고 따스하고 넓은 들이 있는 곳에 정착하여 곡식과 채소의 씨앗을 뿌리면서 농경사회가 시작되었으리라. 씨족을 중심으로 끼리끼리 화목하게 모듬살이를 하는 것을 지켜본 조물주가 기특하게 여기고는 곡식과 채소를 심은 논밭에는 잡초가 나지 않도록 했다고 한다.
잡초가 없는 논밭에는 곡식이나 채소가 잘 자라 농부들은 아무런 걱정 없이 농사를 잘 지을 수 있었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잡초가 없는 논밭에서 농사를 짓다보니 농부들은 별 할 일이 없었고 자연히 게을러지게 된 것이었다. 이를 지켜본 조물주는 인간들이 이렇게 게을러져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고 고민하다가 잡초의 씨를 뿌리게 되었다고 한다.
곡식이나 채소가 제대로 자랄 때를 맞추어 20일에 한번 꼴로 잡초의 씨를 뿌렸으니 농부들은 당황하여 급기야 김매기를 시작한 것이다. 곡식이나 채소의 씨앗을 뿌리고는 퇴비하고 잡초를 제거하는 일이 가장 큰 일이 되었다.
문제는 이 잡초의 생명력이었다. 농부가 가꾸고자 하는 곡식과 채소는 잡초와 경쟁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농부의 보호를 받지 않으면 곡식과 채소는 살아남을 수가 없었다. 얼마나 잡초의 생존력이 강했으면 “잡초는 머리에 그 씨앗을 이고 나온다”는 말이 나왔을까. 잡초는 태어날 때 그 씨앗을 머리에 달고 나와서는 곧장 대를 이을 씨를 뿌려 종의 번식에 나선다고 할 정도라는 것이다. 그 강인한 생명력, 그 대단한 종족 보존력은 가히 자연계의 어느 생명체가 이를 따를 수 있겠는가. 분명 이 강인한 생명력은 본받을 만한 가치도 있지만 농부로서는 이 잡초의 강한 생존력이 곱게 보일 리가 없지 않은가.
우리 인간사회에서의 잡초도 문제다. 선량하게 태어나고 올바르게 자라서 인간의 양식이 되는 곡식과 채소에 비유될 사람도 있지만 사회의 독버섯이나 무용지물인 잡초가 되어 해악과 폐해를 끼치는 사람 또한 얼마나 많은가. ‘악화(惡貨)가 양화(良貨)를 구축한다’는 그레샴의 법칙처럼 어느 시대 어느 사회에서나 부정적인 인간군상들이 선량한 사람들보다 더 설치고 요란한 모습을 보여온 게 사실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원하는 바는 평화와 행복, 진실과 선량함, 사랑과 아름다움인데도 우리 사회는 소수의 잡초와 같은 사람들에 의해 전쟁과 불행, 거짓과 악. 미움과 추함이 끊이질 않는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번식력과 생존력이 강해도 잡초는 잡초다. 잡초가 곡식이나 채소의 자리를 빼앗을 수 없듯이 인간사회도 말없는 다수의 선량함이 요란한 소수의 사악함을 제압해야 한다. 농부가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땀흘리듯이 우리사회도 사악한 부정적 인간군상들의 악업을 제거하기 위한 근원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일찍이 부처님께서도 열반경에서 ‘악업(惡業)의 씨앗을 만들지 않는다면 미래에 받아야 할 악과(惡果)는 없을 것’이라 하셨으니 악업의 씨앗인 악인을 제거하려는 노력이 바로 수행의 길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