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개인 남산에

우수남악권청람 雨收南岳捲靑嵐 비개인 남산에 아지랑이도 걷히고

산색의연대고암 山色依然對古庵 산 빛 의연히 옛 암자를 마주하네.

독좌겅관심사정 獨坐靜觀心思淨 고요히 홀로 앉아 바라보니 마음마저 맑아져

반생견괘칠근삼 半生肩掛七斤杉 이렇게 반평생 어깨에 장삼 걸치고 살았네.

「산당우후(山堂雨後)」라고 제목이 붙어 있는 이 시도 서산대사의 제자인 일선정관(一禪靜觀1533~1608)이 지었다. 비온 뒤 절간에서 산색을 바라보다 심사가 일어나 반평생의 생애를 돌아보며 조용히 심경을 읊어 놓았다. 어떤 면에서 생각해 보면 사람이 어디서 무엇이 되어 사는가 하는 것은 어느 개인의 인생살이의 객관적인 정황으로 화폭에 그려진 그림의 내용과 같은 것이라 할 수 있겠다. 한 평생을 산속에 살면서 수도에 종사한 사연 속에도 숱한 애환이 있을 것이다. 그래서 어깨에 장삼 걸치고 살았다고 자기 생의 독백을 내 놓는다.

임진왜란의 전란을 겪으면서 승려로서 남다른 고민을 했다는 정관은 전쟁을 하여 사람이 사람을 죽이는 중생의 업보를 몹시 개탄했다고 알려졌다. 업보란 무서운 것이다. 이것이 잘못되면 엄청난 악업을 지으면서 도를 어기고, 하지 말아야 될 일을 하고 해야 될 일을 하지 못하는 어처구니없는 생을 헛되게 살고 마는 것이다.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5년 7월 제56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