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직장으로 집으로 배달되는 연하장을 보면서 고민에 고민이 더 합니다. 해마다 연말연시가 되면 우체국이 몸살을 앓고 집배원이 땀을 흘리는 것이 이젠 관례가 되었습니다. 다른 우편물도 많지만 특히 연하장이 홍수를 이룹니다. 성탄절과 맞물려서 성탄축하와 신년인사를 겸하는 행사로 굳어졌습니다.
이 연하장의 긍정적 의미는 많습니다. 한해동안 도와 주시고 성원해 주신 분에 대한 감사의 인사는 물론 은혜와 사랑을 입었지만 평소 제대로 인사드리지 못한 사람에 대해서도 예를 갖추고 자기의 새해 다짐을 전하는 등 참으로 바람직스런 일입니다. 그러나 부작용 또한 간과할 수 없습니다. 무절제한 그야말로 형식적인 관례로 흐르는 경향이 많습니다. 상용화된 우편 연하카드나 도식적으로 인쇄된 연하장은 차라리 안받은 것만 같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심지어는 잘 기억하지도 못하는 사람의 연하장을 받을 때는 황당하기까지 합니다. 그런가 하면 연말연시면 폭주하는 연하 우편물 때문에 정작 급히 배달되어야 할 우편물이 제때에 도착하지 못하는가 하면 배달 사고도 잦은 현실입니다. 고급스런 용지에 ‘서울 김서방’에게 보내는 식의 무절제한 연하장은 낭비의 요인도 많습니다. 이러한 의미라면 연말 연시를 이용한 연하장 문화는 다시 한번 생각해 봄직도 합니다.
최근 3년 동안 나는 연하장을 보내지 않았습니다. 천성이 게으른 탓도 있지만 수십년동안 남들처럼 아니 남보다 적게 부치지는 않았는데 서서이 생각이 바뀌게 되었습니다. 꼭 인사드려야 할 사람에게만, 그것도 전화나 편지로 하자는 것입니다. 수년째 내가 받은 연하장을 분류해 보았습니다만 내가 받고 싶은 것은 채 반의 반도 되지 않습니다. 대부분이 너무도 의례적이고 형식적인 것에 불과 했습니다. 오늘도 쏟아져 들어오는 연하장을 보면서 어떻게 대처 해야 할지 걱정이 앞서기 때문입니다.
이제 연하장 문화는 좀 바뀌어졌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꼭 연말연시가 아니라도 좋으니 편지를 쓰는, 좀은 복고적인 형식으로 되돌아 갔으면 좋겠습니다. 꼭 연하장을 쓸경우에도 곁표지는 인쇄를 하거나 그림을 그리더라도 속장에는 친필로 사연을 적도록 해야 하겠습니다. 이즈음엔 전자우편(E-mail)도 좋은 방법입니다.
지난해부터는 연말연시를 피해 2월 들어 입춘(立春)을 맞아 ‘입춘방’을 보내면서 몇자 적어보기도 했습니다. 가끔씩 지인들의 사무실을 방문했을 때 내가 보낸 입춘방이 책상앞에 붙어 있거나 책상의 유리 밑에 있는 것을 보았을 때, 집을 방문하는데 현관 문에 붙어 있는 것을 보면 씨익 웃음이 납니다.
고마운 사람에 대해 인사를 빠뜨리는 것은 사람의 도리가 아닙니다. 그러나 그 방법은 개성있게 정성이 담겨지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김형춘 글 / 월간반야 2002년 1월 (제1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