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의 시간 잔고(殘高)는 얼마나 될까. 나는 앞으로 이승에서 얼마나 더 살 수 있을까. 모르긴 해도 그리 많지 않을 것 같다. 시간의 잔고는 아무도 모른다. 시간은 오는 것이 아니라 가는 것. 요즈음 장년층이나 노년층에서 즐겨 부르는 유행가에 ‘고장난 벽시계’(?)를 들은 적이 있다. 벽시계는 고장이 나서 멈추기도 하는데 이놈의 세월은 고장도 나지 않는다고.
중생은 자기에게 주어진 나머지 시간은 모르면서 통장의 예금 잔고는 부지런히 챙기고, 투자한 주식의 가치를 시시각각으로 확인하고, 자기 소유의 부동산 가격이 얼마나 올랐는지 확인하는 재미로 산다. 쌩 떽쥐베리가 어린왕자의 입을 빌어 현대인들은 ‘꽃향기를 맡아본 적도 없고, 밤하늘의 별을 쳐다본 적도 없으며, 누구를 사랑해 본 적도 없이 단지 더하기(?) 밖에 할 줄 모른다’고 통렬히 꼬집은 의미가 이해될 듯도 하다. 삶의 어떤 의미보다도 물질적 풍요를 추구하고 이를 통해 쾌락을 맛보면서 사는 게 중생이라고 말이다.
얼마 전 ‘반야불교학당’에선 10개월에 만에 ‘지안(志安)’ 큰스님의 ‘원각경(圓覺經)’를 마치고 책거리가 있었다. 천성이 게으르고 아둔한데다가 졸음마저 겹쳐서 마지막 페이지를 넘기고 나니 머릿속에 남은 것이라곤 하나도 없어 스님께 부끄러운 마음뿐이었다. 그동안 무얼 배웠느냐고 묻는 아내의 질문에 답도 못하고 다시 첫 시간에 읽은 ‘원각경 해제’를 읽으면서 기억을 더듬어보았다.
“단무명 현불성(斷無明顯佛性)”이라 하여 ‘무명의 정체를 밝히면서 무명을 끊는 방법을 설해놓은 경’이라고 하였다. 우리의 자성 가운데 미진수와 같은 청정공덕을 본래 갖추고 있는 바, 모두 청정한 원각을 원만히 비춤에 의해 무명을 영원히 끊고 불도를 이룬다고 하였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중생의 삶은 모두 ‘환(幻)’이요, 무명(無明)은 ‘공화(空花)’를 보는 것과 같으니 허망하게 생사윤회(生死輪廻)를 거듭한다는 것이다. 비유하건대 어리석은 사람이 낯선 곳에 가서 동서남북의 방향을 모르는 것과 같으니, 사대(四大)를 잘못 알아 자기의 몸이라 하고, 육진(六塵)의 그림자를 잘못 알아 자기의 마음이라 하는 것과 같다 하였다.
‘신영복’님의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에 나오는 이야기다. 오늘날처럼 문화와 교통이 발달하기 이전에 첩첩산중(疊疊山中)의 산골 마을에서 평생을 살아온 노인에게 ‘해가 어디서 떠서 어디로 지느냐’고 물으면 그는 당연히 ‘해는 산에서 떠서 산으로 진다’고 할 것이다. 또한 태평양 같은 큰 바다 가운데 있는 절해고도(絶海孤島)에서 평생을 살아온 사람에게 같은 질문을 하면 그는 ‘해는 바다에서 떠서 바다로 진다’고 할 것이다. 만주 벌판이나 미국 서부의 대평원(大平原) 한가운데서 평생을 살아온 농부에게 ‘해가 어디서 떠서 어디로 지느냐’고 물으면 그 역시 ‘해는 지평선에서 떠서 지평선으로 진다’고 할 것이다.
세 사람 다 자기의 입장에서 보면 ‘사실(事實)’이다. 그러나 이들의 답은 ‘진리(眞理)’는 아니다. 이들이 보고 듣고 경험한 것들은 모두 ‘환幻’이요, 이들의 삶은 ‘무명(無明)’ 그대로다.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모르긴 해도 시간의 잔고는 여유가 없다. 무명의 정체를 밝히고 무명을 끊는 노력이 시급하다. 깨어있는 삶을 찾아 깨어있는 시간을 갖도록 노력하는 수밖에 없지 않은가. 우리가 수행하지 않으면 생사 속에서 항상 환화(幻化)에 묻혀 살 것이니 이 허환(虛幻)을 벗어날 길을 찾아야 한다.
생의 나머지 시간을 ‘환幻’에서 깨어나는데 써보자. ‘무명(無明)’을 끊는데 전력투구하자.
김형춘 창원문성대학 교수, 문학박사, 월간 반야 2011년 7월 128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