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하착(放下着)

“趙州因嚴陽尊者問 一物不將來時如何 師云放下着 嚴云 一物不將來 放下箇甚麽

師云 伊麽則擔取去 尊者大悟”

옛날 중국의 엄양존자(嚴陽尊者)라 불리우는 스님이 하루는 조주(趙州)스님(779-897)에게 물었습니다.

“모든 것을 버리고 한 물건도 가져오지 않을 때는 어찌해야 합니까?”

조주스님이 대답하기를 “내려놓아라(放下着).”

이 말씀을 들은 엄양존자는 도대체 무엇을 내려놓아야 하는 것인지 이해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다시 물었습니다.

“한 물건도 가지고 오지 않았는데 무엇을 내려놓으라는 말입니까?”

그러자 조주스님은 “그렇다면 짊어지고 가게”하고 대답했습니다.

이에 엄양존자는 크게 깨쳤습니다.

위의 일화는 ‘방하착(放下着)’이라는 화두로 우리들에게 잘 알려진 이야기입니다.

방하착이란 ‘내려놓아라’는 뜻으로 여기서 ‘착(着)’은 ‘방하(放下)’를 강조하기 위한 어조사(語助辭)로 특별한 의미는 없습니다. 원래 ‘방하착’이라는 용어는 『오등회원 (五燈會元)』<세존장(世尊章>에서 나오는 말로써 흑씨범지(黑氏范志)가 오동꽃을 받들어 세존께 공양하자 부처님께서 흑씨범지를 불러 ‘방하착하라’고 말씀하셨다는 일화에서 유래합니다.

즉 부처님께서 흑씨범지에게 꽃을 공양했다는 집착된 마음마저 내려놓으라는 뜻으로 말씀하셨을 것입니다. 여기 공안에서 조주스님께서 ‘방하착하라’고 하신 의미는 모순적 취사선택의 상황에서 어느 한 쪽을 선택하거나 양쪽 모두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양쪽 모두를 놓아버리고 분별적 사고에서 벗어나라는 말씀이십니다. 더 나아간다면 ‘놓아버린다’는 것도 또한 분별이므로 무분별의 분별마저도 놓아버리는 것으로 마치 서양논리학에서 말하는 모순율을 극복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단계를 뛰어 넘어야 만이 선에서 말하는 절대적 선의 경지에 들 수가 있는 것입니다. 이 공안은 『선문염송』 435칙, 『종용록』 57칙과, 『조주록』 등에서 찾아 볼 수가 있습니다.

인해스님 글. 월간반야 2005년 10월 제58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