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도 깃발도 아니다 (風幡問答)

육조 혜능스님은 오조 홍인스님으로부터 법과 가사를 받고 17년간 재속(在俗)의 은거생활을 한 후, 의봉(儀鳳) 원년(676) 남해의 제지사(制止寺)에 이러러 인종(印宗)법사(627~713)가 『열반경』]을 강의하는 회상(會上)을 만났습니다.

그 때 인종법사가 대중에게 물었습니다. “그대들은 모두 바람이 찰간으로 부는 것을 보라. 꼭대기의 깃발이 움직이는가?” 대중들이 말했습니다.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때 어떤 사람이 말했습니다. “바람이 움직이는 것으로 봅니다.” 또 어떤 사람은 “깃발이 움직이는 것으로 봅니다.” 혹은 “이것은 깃발이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견해(見解)가 움직이는 것입니다”라고 하며 논쟁이 어렵게 되어 진정하지 않게 되자 혜능스님이 좌석에서 일어나 법사에게 대답했습니다. “본래 대중들의 망상심이 움직이고(動) 움직이지 않는 것(不動)일 뿐, 깃발이 움직이는 것이 아닙니다. 법은 본래 움직임과 움직이지 않는 것과는 관계없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 말을 들은 인종법사는 놀라서(驚愕) 멍하게(茫然)되어 무슨 말인지 알지 못했습니다. 이어 법사가 물었습니다. 거사(혜능스님)는 어디에서 왔소? 혜능스님이 대답했습니다. ꡒ본래 온 것도 아니요, 지금 또한 가는 것도 아닙니다.ꡓ 법사는 법상(高座)에서 내려와 혜능을 맞아서 방으로 들어갔습니다.

우리들이 잘 알고 있는 위의 이야기는 『역대법보기』의「혜능장」에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좀 더 명확히 알리고자 첨삭 없이 적어보았습니다. 여기서 논쟁을 벌이고 있는 대중들을 향해 혜능스님이 내어 보인 것은 바람과 깃발이라는 객관적인 대상인 사물에 집착하는 대중들의 견해를 타파하고 각자의 주관적인 입장으로 되돌리고 있는 것입니다. 또한 한걸음 더 나아간다면 마음이라는 본체와 깃발과 바람의 움직임이라는 현상(작용)을 다 같이 수용하는 체용일여(體用一如)의 이치를 볼 수 있습니다.

송대(宋代)의 무문혜개(1183~1260)스님은 그가 편집한『무문관』에서 ꡐ바람이 깃발을 움직이게 한 것도 아니고, 깃발이 흔들리는 것도 아니며, 또한 마음이 움직이는 것도 아니다ꡑ라고 했습니다. 즉 주관적인 마음과 객관적인 바람과 깃발이 모두 차별적인 것으로 보고 자기와 일체 만법이 하나가 되는 경지(萬法一如)가 되는 무심의 경지를 설하셨던 것입니다.

인해스님 (동국대 강사) 글. 월간반야 2005년 9월 제 58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