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이 뭐길래

연일 뉴스의 첫머리는 대입수능 부정 사건이 장식한다. 자고 나면 가담자가 늘고, 제2․제3의 사건이 드러난다. 도대체 이 사건의 파장이 언제까지 어느 규모까지 확산될지 모르겠다. 오늘도 교육일선 특히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내신은 물론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단 한 문제, 단 1점이라도 더 맞추고 성적을 올리려고 선생님들을 독려하고 학생들을 닦달하고 있는 교장의 입장에서는 그 자괴감을 말로 표현하기 힘들다.

11월 17일. 수능 고사장으로 되어 있는 우리학교에서도 25개 고사실에서 685명의 여자 수험생이 시험을 치르는데 시험관리에 종사하는 사람은 우리 교직원과 다른 학교에서 온 선생님들과 경찰관을 포함해서 모두 109명이었다. 종사자들은 40페이지 분량의 ‘감독관 유의사항’만 받았지 전파차단기나 금속탐지기 등은 지급 받지 못했고, 수험생의 몸수색을 할 수 있는 권한도 부여받지 못했다. 다행이(?) 우리 고사장에서는 부정행위자가 아직은 적발되지 않았다.

요즈음 신세대들이 기성세대를 압도하는 것들이 많겠지만 그 대표적인 것이 정보통신기술일 것이다. 이번 수능 부정행위에서도 신세대들은 기성세대 감독교사들을 업신여기고 비웃기라도 하듯이 읍소하고 각서를 쓰고서도 자기들의 계획대로 하고야 말았다. 정보통신의 강국답게, 그 강대국의 신세대다운 면모를 ‘디지탈 부정행위’를, 그것도 ‘007작전이 무색할 정도의 작전’으로 해 내었다. 물론 ‘아날로그식 감독관 유의사항’으로는 부정행위를 적발하지 못했다. 아니 제자들의 앞날을 걱정하며(?) ‘유의사항’보다 좀 느슨하게 감독을 하였는지도 모르겠다.

얼마 후면 학생, 학부모는 물론 교육청 관계자, 고사장 관계자, 감독관들이 줄줄이 문책을 받을 것이다. 이 학생들을 가르쳤던 모교에서도 책임 공방은 이어질 것이고, 수능을 총괄하는 교육부와 평가원 관계자도 무사하지는 못할 것이다. 그리고는 내년을 대비해서 관리대책과 철저한 감독 방법이 강구될 것이다. 전파를 차단하고 금속탐지기도 등장할지 모른다. 부정행위자는 아마 영원히 대학에 가지 못하게 할지도 모른다.

문제는 이게 아니다. 수능시험 관리상의 문제로 축소․왜곡되어서는 안 된다. 단순히 수능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교육’ 그 자체의 문제로 접근하고 해결법을 찾아야 한다. 왜 교육부는 이 ‘수능’이란 제도에 그렇게 집착하는가. 대학들이 학생 선발권을 돌려 달라고 그렇게 아우성인데 무엇 때문에 움켜쥐고 놓아주지 않는가. 다양한 방법으로 자기들이 교육시킬 학생을 선발하게 해 주어야 한다. 물론 부정이나 잘못이 있을 때는 제재하면 되지 않는가.

보다 근본적인 것은 교육에서 양심과 원칙을 소중히 여기고 실천하는 환경을 학교나 가정, 사회에서 만들어 주고 기성세대가 모범을 보여 주어야 한다. 이번 사건에 “나는 책임이 없다”고 할 사람이 있는가.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가 통렬한 자성이 필요하다. 어느 시대 어느 사회나 마찬가지겠지만 지식이나 기술이 문제가 아니라, 도덕성이 그 사회를 건강하게 만드는 요체다. 교육의 우선순위를 어디에다 두어야 할 것인지 처음부터 다시 생각해야 한다.

김형춘 글. 월간반야 2004년 12월 제49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