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일간산간부족 日日看山看不足 날마다 산을 보아도 보는 것이 모자라고
시시청수청무염 時時聽水聽無厭 때마다 물소리 들어도 싫증이 나지 않아
자연이목개청쾌 自然耳目皆淸快 귀와 눈이 저절로 맑고 시원해
성색중간호양염 聲色中間好養恬 소리와 색깔 그 속에 고요함을 기르네.
수도자들은 예로부터 산과 물을 벗한다. 사는 곳이 산속이니 의당 그럴 수밖에 없었다. 무심한 자연 속에 무심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이었다. 눈을 뜨면 산이니 아무리 보아도 싫지가 않고 시시로 들려오는 물소리 그 소리에 짜증을 내 본 적이 없다. 오히려 산을 보니 눈이 맑아지고 물소리 들으니 귀가 시원해진다. 여기에서 도심이 깊어지고 사는 일이 조용하다.
이 시는 고려 때 원감국사(圓鑑國師) 충지(沖止 : 1226~1292)의 시이다. 한가함 속에서 스스로 기뻐서 지었다면서 제목을 한중자경(閑中自慶)이라 붙인 시이다.
출가 전 19살에 장원급제하여 벼슬길에 들어서 일본에 사신으로 다녀오기도 했던 스님은 문장이 뛰어나 이름을 날리기도 했는데 29살에 원오(圓悟)국사를 의지해 수계 스님이 되었었다. 몽고 침입 때 환수 되었던 사찰의 토지를 돌려 달라는 글을 올려 원나라 세조를 감동케 해서 땅을 돌려받고 세조의 청으로 연경을 다녀오기도 하였다. 그의 사후 고려 충렬왕 때 원감국사어록을 간행했으나 산실되고 말았는데 육당 최남선이 일본에서 구해와 다시 국내에 알려지게 되었다.
요산지안 큰스님 글. 월간반야 2007년 2월 제75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