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Yog?c?r(y)abh?mi??stra. 100권. K-570, T-1579. 미륵보살 짓고, 무착 보살 엮음. 당(唐)나라 때 현장(玄?)이 646년에서 648년 사이에 홍복사(弘福寺) 또는 대자은사(大慈恩寺)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유가론』이라고 하고 별칭으로 『광석제경론(廣釋諸經論)』 · 『십칠지론(十七地論)』이라고도 한다. 유가행자(瑜伽行者)의 경(境) · 행(行) · 과(果) 및 아뢰야식설 · 삼성설 · 삼무성설 · 유식설 등에 대해 해설한 논서로서 미륵보살이 무착(無着)을 위하여 중천축(中天竺)의 아유사[阿踰?] 대강당에서 4개월 동안 매일… 유가사지론 (瑜伽師地論) 계속 읽기
[월:] 2020년 02월
소라다 (蘇多)
(1) ⓢ Surata 소라다(蘇喇多)라고도 함. 묘적(妙適) · 묘주(妙住) · 묘착(妙着) · 묘락(妙樂)이라 번역. 남녀가 음행하는 것 같은 일. (2) ⓢ Sur???ha 소랄타(蘇剌他)라 음역. 서인도의 나라 이름.
최승자 (最勝子)
ⓢ J?naputra 신나불달라(愼那弗?羅)라 음역. 인도 유식 십대론사의 한 사람. 호법 보살(護法菩薩)의 제자. 세친(世親)의 『유식삼십송(唯識三十頌)』을 해석한 것이 있는 듯하나, 현장(玄?)이 『성유식론』을 번역할 때 십대론사(十大論師)의 해석을 모두 합하여 만든 결과로 전하지 못함. 또 지금 있는 『유가사지론석(瑜?師地論釋)』 1권이 그의 저술이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