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장 (宗匠)

종사(宗師)가 법을 잘 말하여 후배들을 지도 양성하는 것이, 마치 훌륭한 장인이 재료를 마음대로 다루어 좋은 물건을 만들어 내는 것과 같다는 데서 하는 말.

사취 (四取)

3계의 번뇌를 네 가지로 나눈 것. 욕취(欲取)ㆍ견취(見取)ㆍ계금취(戒禁取)ㆍ아어취(我語取). 이것은 12인연 중의 취지(取支)를 자세히 구별한 것이니, 취(取)는 집취(執取)ㆍ집지(執持)의 뜻으로, 3계의 허망한 상(相)에 집착하여 6취(趣)의 생(生)을 취하므로, 번뇌를 취(取)라 함.

2019년 02월 15일 뉴스 – 불교 섹션보기

BBS뉴스 “행복한 회향”…종립학교 졸업식 봉행 ‘새 출발’ “승가 고령화 – 국립공원 정책 시급히 개선돼야” “금강산 신계사에서 남북불교 교류 다시 점화” 조계종 ‘종단 지도자 포럼’ 발족…“현재 진단, 미래 준비” “최고의 茶문화 이곳에서”…경남 하동에 ‘다인 박물관’ 추진 정치권 “불교계 북한 사찰 복원, 입법적 지원 아끼지 않을 것” 청년들의 마음 쉼터 노량진 마음충전소 개소 1주년 문대통령, 권려기관 개혁… 2019년 02월 15일 뉴스 – 불교 섹션보기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