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철스님─구원받는 길(3)

援ъ��諛��� 湲�(3)

-�깆��ㅻ��-

吏���媛� ��湲곕�� �� 媛�吏� ��寃��듬����.

6.25�щ��� ���몃�������� 援������� 臾몃��щ�쇨� ���� �닿�

��瑜� 李얠������ ���� 留�������.

�ㅻ���ㅻ�� �댁㎏�� 媛��몄<��留� �⑸��源�?

遺�紐⑦���� �� 踰�由ш� �ы��, 援�媛��� �� 踰�由ш�

�곗����� 李몄�����ㅺ� 媛�留��� �������쇰�� �쇱��留� 醫����ㅺ� ����

洹멸��� 媛��몄<�� ����怨� 臾댁������源�?

洹몃�곕�� �닿� 蹂� ���� �ㅻ���ㅺ� 媛��몄<�� ����怨� �뱀���� 諛�濡� 媛��몄<���� !

-�댁㎏�� 洹몃���듬��源�? ���� �ы���� �대㈃�� 遺�紐⑦���� ��蹂닿� ������

�댁㎏�� ��媛� 媛��몄<���� ����源�?

�� 媛�吏� 臾쇱�대낫寃����� �뱀�� �ы�� 5O������ �댁���ㅻ㈃�� �� 遺�紐� �� 泥���

�댁�몄�� ��踰��대�쇰�� ��媛��� 蹂몄�� ����吏� ���щ��濡� 留��� 蹂댁����.

李몄�쇰� ������寃� �⑥�� ���� �쇳�� 蹂몄���� ���� 寃� 媛��듬����.

�ㅻ���ㅺ� 遺�紐⑦���� 踰�由ш� ���� 寃��� ���� 媛�議깆�� 踰�由ш�

�� 媛�議깆�� ���� �닿린 ���� 寃��댁��

�� 遺�紐� �� ���� �닿��� ���� 媛�議깆�댁�� �닿��� 踰�由ш� ������

洹� 紐⑹���� �대���� ������

紐⑤�� 以����� ���깊��寃� 蹂닿린 ��臾몄�댁�� 洹몃�щ��源�

�� ��諛��� 臾띕�� 泥���沅����대�쇨� ���� ���ъ�ъ�� ���대�由ш�

�ㅼ� �쇱껜以����� ���댁�� �щ�� 寃��� 遺�援��� 洹쇰낯�댁�� !

�뱀�� 留�泥��� �� 遺�紐� �� 泥��� �댁�몄����

��踰��� ��媛��� 蹂� ���� ���ㅻ�� �뱀���댁�� 留�濡� 泥���泥�誘� 媛��몄<���� ����媛�?

�ㅻ�� �댁���� �� 吏�蹂댁���댁������.

洹몃�곕�� �닿��� �닿� 留��ㅼ�� �� 留��� ����怨� �댁�몄�ъ�� ��留����κ꼍����

紐⑤�� 洹몃��寃� ���� ����

�⑥�� ���댁�� �댁���쇳��怨�, 蹂댁�댁�� �〓��留���(��佯��ц�) 6諛��쇰���

泥����� 臾댁���멸� ���� 踰��몃�� 寃��댁��

�������쇰� 臾쇱����쇰� �⑥�� ���곕�� 寃� 洹멸��� 諛�濡� 蹂댁��(躍���)�� !

��留����κ꼍 ��泥닿� �⑥�� ���댁�� �댁���� ���� 寃��댁��.

-��..(臾듬У)

洹몃�щ�� �밸�ㅺ� 異�媛����� 寃��� �� �쇱�� �몄����寃� 醫����ㅻ�� 寃��� ����怨�

�� ��以��� 寃��� ���� ���� 寃��� 踰�由� 肉��댁��

洹몃���� 寃곌뎅���� 臾댁����(�→����)媛� ���� 留����� ���� �④�

�쇱껜以����� ������ ���� �� ��寃� ���� 寃��댁��.

洹몃���� �곕━媛� 留����� ���� �⑤�ㅻ㈃ 諛����� ���대�� 留���

�닿��� 踰��ㅼ�� ������ ������ 踰�由대�ㅻ㈃

��留��� ���댁�� ��留��� ���댁������ �� ��媛��� 癒쇱�� 踰��ㅼ�� �⑸����.

������ �댁�쇨린 ��吏� ��������源�? 遺�怨듭�대�� ���� 寃���

遺�泥��� ���� 媛��� ��怨� ����怨� 蹂듬��� 寃��� 遺�怨� ����怨�

������ 留����쇰� �⑥�� ���곕�� 寃��� 遺�怨듭�대�쇨�.

遺�泥���猿��� 蹂댄��������(��蘊㉾�窈���)�� ��二� 媛�怨≫��寃� 留�������吏� �����듬��源�?

�뱀�� ���� 媛��� ���� 寃� 蹂대�ㅻ�� 以����� ��源������대�쇰�� ����以� 寃� 媛��쇰㈃

洹멸��� ��湲� ���� 媛��� ���� 寃� 蹂대�ㅻ��

�щ�� �듭�留�諛� 鍮�援��� �� ���� 怨듬���� ���ㅺ�.

�닿��� 臾댁���대�� ��硫� 寃곌뎅 留����� ���� ���� 誘몃��寃���

�� ����濡� ������ �� �대┝�댁�대�� �깆랬��寃� ���� 寃�������.

洹몃�щ�� �⑥�� ����二쇰�� 寃��� 遺�泥�����寃� 媛��� ���� 寃�蹂대��

鍮����� �� ���� 洹몃�� �� 怨듬���� ���ㅺ� 留������� 寃�������.

��媛�吏� ��瑜� �ㅺ��듬����.

�쇰낯 泥�由ш�(鸚⑼ℓ��)�� 援�二쇰���� �щ���� ��源��쇰� 留��쇰�쇰�� �щ���몃��

�ъ��������.

洹� �뱀�� �쇰낯������ 援��ν�� 遺���濡� �댁���듬����.

洹몃�곕�� �� �щ���� 怨듬�瑜� �댁�� ��湲� �댁���� 留����� ���� ��踰��몄�듬����.

���� �④� 蹂대�� ��湲� �대┝�댁�대�� 蹂�寃��� �����쇰�� 寃��� �����듬����.

�� �대┝�� �댁�쇨��� ��媛���怨� �⑦�몄�� 遺��� ����怨� 留����듬����.

�댁��源�吏��� �닿� �뱀�� 留����쇱������ �ㅻ��遺��곕�� �닿� �뱀�� �ㅼ�뱀�댁��

�닿� 源⑥낀�� �닿� �������대��源� �� 留� �ㅼ�쇱����.

(��寃� 誘몄낀��, �� ���ъ�) 洹몃�� �대�산� ���쇰�� 嫄곗��?

�곕━ �대┝�댁�대�� ��遺� �� ������.

�닿� �� �� 遊��� �쇰��� ������.

紐⑤�� �� �⑥��寃� ������ 以�����.

洹몃�щ㈃ 寃곌뎅���� 李몄�쇰� �� ��踰��대�� �� �� ���듬����.

��二� �� ��踰��닿� �⑸����.

洹몃━���� �ъ�곗�� �� ������ 紐⑤�� �⑥��寃� 二쇱�� 踰��몄�듬����.

�댁�� �댁�몃�� 鍮����� �����듬����.

諛μ�� �살�� 癒뱀�쇰㈃�� 臾댁���대��吏� �⑥��寃� �댁�듬���� 寃�,

�⑥��寃� 醫��� 寃�, �� ���곕�� 寃��� 李얠�� �ㅻ��硫댁�� ���� 寃�������.

洹몃���� �ъ���� 紐몄�쇰� �쇰낯 ���ъ�� ��紐��� �� �몃Ъ�� ������ 寃�������.

寃곌뎅 ��踰��대�� �ш� �� 寃� ������源�?

�곗���� 議곌렇留� �대┝�댁�대�� �몃��二쇨���.

�닿� �대��寃� 留����ㅺ� �댁�� ������ �� �대┝�댁�대�� ��踰� �� 遊��쇨��ㅲ��

�대��寃� ������怨� 吏��� ��怨� 諛��� ��怨� �� �� �щ�� ���듬��源�?

�� ��踰� �ㅼ�� 蹂댁������.

(����)

洹몃��寃� ��硫� �쇰��� 醫�寃��듬��源�?

��湲곗�ъ�� �⑦�� ������ 媛����� �щ���� ������ 以��ㅻ㈃

洹몃��寃�留� ��硫� �닿� 紐⑺��媛�吏�怨� �곕�� �ㅻ��硫댁�� 洹� �щ���� ����

��移� �����쇰� ��遺���硫�

紐⑥�� 寃�������.

洹몃�� �щ���� ���ㅻ㈃.

�ㅼ�� 洹몃��寃�源�吏� 洹밸�⑥���쇰��� 紐삵�����쇰�� �곕━�� ����諛⑹묠��

�대�산� �댁����吏� �⑥�� ������ 寃��댁�댁�� �⑸����.

�⑥�� ������ �닿��� 李몄�쇰� ��瑜� ������ 寃��� 以��� ������ �⑸����.

�⑥�� ������ 寃��� 李몄�쇰� ��瑜� ���� 寃��닿� ��瑜� ���� ���щ��쇰�� 寃���

寃곌뎅 ��瑜� 二쎌�대�� 寃�������.

�⑥�� ���� ��袁� �몃�ν��硫�, 李몄�쇰� �⑥�� ���� ������ �� 寃� 媛��쇰㈃

寃곌뎅���� 留����� ���� ����

泥�泥�諛깆��(��鸚⑴�썸��)�� ���� 蹂� �� ���� 寃�������.

洹몃�щ�� �대�ㅼ�� 寃��� 留��� �� 寃� ���� �� 媛�吏��쇰��

�⑥�� ���곕�� ������ �대낫�� �닿�������.

���� 寃⑥�몄�� 遺�怨듭�� ���� 踰�臾몄�� ������ ��臾멸린���ㅼ�� ��由ы�댁��

遺�怨듬������ 踰��뱀�� �������� 遺�泥����� ����怨�

�쇱껜以����대�쇨� �댁�� ��李� �����ъ���� 紐⑥��������.

蹂댄�� �ы���щ���ㅼ�� 蹂� ���� 李� 醫�����

�ㅻ���ㅻ�ㅼ�� 蹂� ���� 洹몃��吏� ������ 紐⑥��������.

遺�怨듯���ㅺ� 遺�泥���猿� 媛��� ��怨� ����吏� 留�怨� ��袁� �� ���곗��

�� ���곗�� �� ���쇰㈃ �곕━�� �� 援띠�� 二쎌�쇰�쇨�?

��硫댁�� ���� ������ �ъ���ㅺ� �⑸����.

留��� 洹몃���ㅺ� ��硫� �닿� �ㅼ�� 泥�踰� 留�踰� ��沅�李쎌�� 泥� 諛����ㅺ�

��吏��쇰�� ��袁� 留��� 李몄�댁��.

遺�怨듭�� �⑥�� ���곕�� 寃���, 遺�泥��� 留�����濡� �щ�� 寃��� 李몄�쇰� 遺�怨듭�대�쇨�.

�곕━ 遺�援�媛� ���쇰� 諛�瑜� 湲몃� �ㅻ�ㅻ㈃ �밸�ㅻ�� ������

紐⑤�� ����諛⑺�μ�� �대�� 怨녹�쇰� 媛��� ������

��硫� �⑥�� �����곕� 諛⑺�μ�� ������ ���ㅼ�몄�� �⑸����.

�밸�ㅺ� ���� ����媛��� �곗��� ������ �� 瑗щ��� ��癒몃��媛�

�レ���대�� ���쇱�대�� 媛�吏�怨� ���� 遺�怨듯�� �щ�쇨� ��硫�

洹멸구 ��怨� ���� 嫄곕━硫댁�� 蹂� 二쇰�쇨� 鍮�怨� ���� 洹몃�� ������

洹몃��濡� 怨������ㅺ��� 遺�援��� ���쇰� ������ ���댁�怨� 留�����.

���� �ㅻ���� ������ ���� 洹몃���듬����.

�⑥�댁�� 二쎈�� 留��� �� ������ 癒몃━留� ������ ������ 媛�吏�怨� ���� 媛���

���닿� 遺�泥��� �곕━ ���� �쇰Ⅸ �リ� �댁<������

�대�� ���� �ш�諛⑹���쇰��� 李몃�� 遺�泥��� ���� ��������.

�밸�ㅻ��, ������ 遺�泥��� ���� ��������.

�대��寃� �댁���� 諛��� ���듬����.

�곗��� 媛����� 寃곌뎅���� ��二� 留��대�由ш� 留�����.

留��������� 洹몃��吏� ���듬��源�.

留��� �щ���ㅻ�� �쇱�� �������쇰�� ������ 怨듬� ���щ�ㅺ� �⑸����.

���� 怨듬����ㅻ�� 寃��� 媛��� �� �ъ�곗�몄��� ��湲� ��臾몄������.

�곕━ 遺�援������� �밸�ㅻ�� ��袁� 援��≪��耳��� �⑸����.

��湲곕�� 紐⑤Ⅴ���� �대�산� �ш���硫� �대�산� �⑥�� 吏�����寃��듬��源�?

洹몃���� �대�산� �댁����, ��以����� 踰��뱀�� 湲곗���μ�� 踰�寃⑥�� �����쇰��

�밸�ㅻ�ㅼ�� 援��≪���ㅼ������ 寃��� �� 洹쇰낯��媛�������.

�닿��� ���쇰� 醫��⑥���� 李⑥������ 瑗� �댁�� �� 寃�������.

洹몃�щ㈃ �댁�� 寃곕��� 留�����由ш��듬����.

紐⑤�� ��紐��� �듭�留�寃� ��遺��� 蹂몃�� 遺�泥��닿� 蹂몃�� 遺�援����� �닿�������

�� 吏�湲��� 罹�罹�諛ㅼ����� 媛��≪��≫����媛�?

留����� ���� �⑥� 紐삵�댁�� 洹몃����.

洹몃���ㅻ㈃ 留����� ���� �⑤�� 諛⑸���?

����瑜� 遺�吏��고�� 李멸뎄�댁�� 源⑥���吏�

����硫� �⑥�� ���� ������ �댁�� �⑸����.

�≪�μ�щ�� ����, ���μ�щ�� ���� 怨�湲곗�μ�щ�� ���� 萸�瑜� ���� �щ���대��吏�

����瑜� 諛곗���� 留������쇰� ����留� ��硫� ���� 寃�������.

洹몃�щ�� 留������쇰� ����瑜� ��怨� ������ �⑥�� ���곕�� �쇱�� 袁몄��� �� 寃� 媛��쇰㈃

�대�� ����媛��� 留��� ���� 踰�媛�遺�媛��� 踰�姨� �⑥�ъ��

洹몃������ 遺�泥���猿��� 留������� 臾대�� ���뱀�寃� ��遺���

蹂몃�� 遺�泥��닿� 蹂몃�� 遺�援����� �닿� ���ㅻ��

洹� 留����� ���ㅽ�� ��寃� ���� 寃�������.

洹몃��遺��곕�� 李몄�쇰� �멸� �몄��怨� 泥����� �ㅼ�뱀�� ���댁��

臾대����遺���(�↓��鸚㏛�雅�)瑜� 誘몃��寃��� �� ����濡� ��寃� �� 寃�������.

洹몃���� 異� 肉��닿��듬��源�?

�� ��移�媛� 踰��댁����� 洹몃��寃� ����濡� �곕━ �④� �몃�ν�⑹����.

(��)

* �깆��곗�ㅻ��踰�臾몄����� *

혜총스님─고통을 나누면 행복이 보입니다

고통을 나누면 행복이 보입니다

-혜총스님-

보시는 남을 위한 것만이 아니라 나를 위한 의미를 동시에 담고 있습니다.

보시는 남을 위한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행복을 위한 것입니다.

보시의 방법은 재시, 법시, 무외시 3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재시(財施)는물질을 원인으로 타인의 고통을 제거해 주는 수행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많이 가졌든 적게 가졌든 남과 더불어 나눔의 아름다움을 실천할 때 현재는 따뜻하고 미래는 평화스러워짐이 재보시입니다.

이때 우리는 삼륜청정(三輪淸淨)을 명심해야 합니다.

보시하는 자와 보시 받는 자, 그리고 보시하는 물질이 모두 청정한 것, 즉 조건 없는 것이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금강경) ‘묘행무주분(妙行無住分)-제4’를 보겠습니다.

“수보리여! 보살은 어떤 대상에도 집착없이 보시해야 한다.말하자면 형색에 집착 없이 보시해야 하며 소리, 냄새, 맛, 감촉, 마음의 대상에도 집착 없이 보시해야 한다.

수보리여! 보살은 이와 같이 보시하되 어떤 대상에 대한 관념에도 집착하지 않아야 한다.

왜냐하면 보살이 대상에 대한 관념에 집착 없이 보시한다면 그 복덕은 헤아릴 수 없기 때문입니다.”

어떤 기대나 조건 등 이유를 달지 않고 보시할 때 진정한 보시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둘째는 법시(法施)입니다.

이것은 정신적으로 궁핍해서 고통 속에 살아가는 사람을 위한 좋은 말씀으로 그를 편안하게 하는 일체의 행위를 일컫는 말입니다.

고뇌하는 자로 하여금 마음의 평안을 얻도록 진리의 말씀을 들려주는 행위가 법보시인 것입니다.돌아보면 주변에는 의외로 진리에 목말라 하는 마음 아파하는 삶을 사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들에게는 장황한 이론을 필요로 하지도 않습니다.

그저 한 마디라도, 마치 체한 사람에게 침을 한방 따끔하게 놓듯이 어리석음을 깨트릴 수 있는 한 마디가 아쉬운 것입니다.

그래서 (범망경)은 다음과 같이 들려줍니다.

“보살을 일체 가난한 사람이 와서 구걸하거든 그가 구하는 온갖 것을 주어야 하는데,만약 보살이 나쁜 마음과 미워하는 마음으로 돈 한 푼, 바늘하나, 풀 한 포기도 보시하지 아니하며, 법을 구하는 이에게한 구절의 법문과 한 마디의 게송과 작은 법 하나도 가르쳐 주지아니하고, 도리어 나쁜 말로 욕설을 퍼붓는 것은 보살의 바라이 죄이니라.”물질을 보시하면 얼마간의 고뇌는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진리를 베풀면 평생을 행복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부처님께서는 (잡아함경)에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먹을 것을 베풀면 큰 힘을 얻고, 입을 것을 베풀면 잘 생긴 얼굴을 얻으며, 탈 것을 베풀면 안락을 얻고, 등불을 베풀면 밝은 눈을 얻으리라.

집으로 반갑게 손님을 맞이하면 모두를 주는 것이고, 법으로 중생을 가르치면 감로(甘露)를 베푸는 것이니라.

감로는 세상에 비교할 수 없는 즐거움을 주는 것이지요.”

셋째로는 무외시(無畏施)입니다.

무외시란 다른 생명의 공포심을 제거해 주는 행동입니다.

즉 상대를 편안하게 해주는나의 자애로움이라면 이해가 될 것입니다.

따뜻한 위로의 말 한 마디, 고통에 대한 애정 어린 공감이 용기와 희망을 줄 수가 있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넉넉지 않은 물질로도 가능하고 글자를 몰라도 할 수 있는 가장 종교적인 실천 원리입니다.

무외시를 이해하고 실천하고자 하는 마음 하나면 여기가 곧 극락이 됩니다.그래서 밝은 세상을 이루는 기본 원리이고, 현재를 살아 가는 모든 이에게 가장 필요로 하는 생활논리입니다

베푼다는 생각도 없이 베푸는 것, 이것이 진정한 보시이며 대승에서 강조하는 이타적(利他的) 자비행의 근본인 것입니다.

“보시하려 할 때는 마음이 기쁘고, 보시할 때에는 마음이 흐뭇하며, 보시한 뒤에는 마음에 후회말라, 그리하여 우리의 어린애는 죽지 않으리.주려 할 때는 그 마음 기쁘고, 줄 때에는 그 마음 흐뭇하며, 주고 난 뒤에는 그 마음 즐거워 하라.

이것이야말로 참 자선(慈善)이니라.” [본생경]

보시는 모든 행(行)의 근원이며, 무명을 제거하고 열반의 인연이 되는 것입니다.

위기가 기회라고 합니다.삶이 힘들 수록 자신에 대한 철저한 성찰을 통해 진리에 가까이 갈 수 있습니다.

가진 것이 비록 적어도 이웃과 나눔을 통해 깨달음의 길로 가까이 갈 수 있습니다.

특히 어둠에 헤매는 자들에게 진리의 등불을 보시하는 것은 무지의 고통을 완전히 끊을 수 있는 최상의 보시를 하는 것입니다.

불자여러분! 오늘 이웃을 위한 참회기도는 우리 모두를 위한 것이며 수행의 길입니다.

보시바라밀로 최상의 지혜를 증득하여 모두 깨달음의 바다에 이르는 인연이 되기를 바랍니다.

일오스님─소를 타고 소를 찾으니 참으로 우습구나

소를 타고 소를 찾으니 참으로 우습구나 – 곡성 태안사 일 오 스님 – 이 몸이 나기 전에 그 무엇이 내 몸이며 (未生之前誰是我) 세상에 태어난 뒤 내가 과연 누구인가 (我生之後我是誰) 자라나 사람 노릇 잠깐 동안 내라 더니 (長大成人裳是我) 눈 한 번 감은 뒤에 내가 또한 누구던가 (合眼朦朧又是誰) 중국 청나라 세 번째 황제인 순치황제가 출가하며 이 세상에 내 보인 게송 중 일부입니다.

이른바 ‘순치황제의 출가시’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부모미생전 본래면목(父母未生前 本來面目)을 떠올리게 하는 게송입니다.

오온경계에만 집착 우리는 어머니 태중을 빌려 이 세상에 나왔지만 그 전에는 누가 나였겠습니까? 인연을 다해 죽음에 임박했을 때 그 때의 나는 누구입니까?‘ 이 뭣고’화두와 함께 순치 황제의 게송에 담긴 의미를 하나씩 맛보고자 합니다.

모든 중생들이 이 생 한번 멋지게 잘 살아보겠다며 삶의 터전을 가꾸어 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순간순간 우리의 터전을 방해하거나 파괴하는 요소들이 밀려옵니다.

우리의 편리를 위해 자동차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지만 언제 사고가 발생할지 아무도 모릅니다.

자동차 뿐입니까? 배와 기차, 비행기 등도 우리 삶의 풍족을 위해 사용하고 있지만 사고로 인해 생을 마감해야 하는 일이 매일매일 벌어지고 있습니다.

지진이나 해일은 한 순간에 뭇 생명을 앗아가고 있습니다.

지금의 우리 자신을 들여다 보세요.

우리는 어떤 즐거움을 택하고 있습니까? 눈과 귀와 입을 즐겁게 해 주는 것에만 관심 있지 않습니까? 그에 대한 열정은 너무나 뜨겁습니다.

오온(五蘊) 경계에 딱 걸려 옴짝달싹 못 하고 있습니다.

오온이라는 속박의 사슬에 매여 있다는 사실도 모르고 사는 사람이 대부분입니다.

이 자리에 계신 분들은 적어도 오온의 속박 사슬에 매어있다는 것만은 알고 계시니 복 많이 받으신 분들입니다.

다만 아직도 그 사슬을 끊지 못했을 뿐입니다.

그 사슬을 끊어 보려 화두를 들지만 말이 쉽지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저는 군에 입대하기 전 절집에 들어가 화두를 들었습니다.

그 때 “참선해 깨우치면 그만이니 글 배울 필요는 없다”는 말에 교학 공부를 게을리 했습니다.

당시 배운 것이라곤 ‘초발심자경문’하나였는데 솔직히 그 때 저 자신도 이 경문 하나 믿고 밀고 나가면 될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지금 돌이켜 보건데 참 어리석었다는 생각입니다.

솔직히 사람 근기에 따라 다르겠지만 저 경우에는 교학을 처음부터 멀리하고 참선에만 매진했더니 한계에 부딪혔습니다.

부처님 말씀의 뜻을 좀 더 깊게 새긴 후 참선정진 했다면 더 큰 성과가 있었을 것입니다.

한계에 부딪혔을 때 ‘이래서는 안 되겠다’싶어 경을 보았는데 그 때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최근에는 스님들은 물론 재가불자 분들도 교리를 중심으로 한 교학 기초에 심신을 다하고 있는 듯 해 참으로 다행스럽습니다.

그렇다고 팔만대장경을 어느 세월에 다 보겠습니까? 그러니 최소한 부처님이 말씀하신 핵심만은 바로 알아야 합니다.

부처님 말씀 핵심은 바로 삼법인(三法印) 즉, 제행무상(諸行無常) 제법무아(諸法無我) 일체개고(一切皆苦)입니다.

물론 대승불교권에서는 ‘일체개고’ 대신 ‘열반적정’(涅槃寂靜)이라 하지만 제가 보기에는 ‘일체개고’를 포함하는 것이 더 좋을듯 합니다.

왜냐하면 ‘열반적정’은 깨달은 후의 본상입니다.

부처님은 오후(悟後) 본상에 무게를 두기 보다는 어떻게 하면 중생들이 오온의 경계에서 벗어나 깨달을 수 있을까 하는데 역점을 두셨습니다.

따라서 삼법인에는 오후 본상인 ‘열반적정’ 보다는 ‘일체개고’를 포함시켜야 한다고 봅니다.

우리는 오온과 더불어 육근육식을 통해 일어나는 것을 두고 ‘내 마음’이요 ‘나’라고 합니다.

문제는 이 속박에서 벗어나야 하는데 어떻게 벗어나느냐 하는 것입니다.

사슬의 자물쇠를 풀 열쇠는 바로 ‘연기’입니다.

삼법인을 관통하는 도리가 연기이기 때문입니다.

연기는 삼법인을 관통 ‘나’라고 집착하는 이 몸도 연기에 따라 생겨나 연기에 따라 사라집니다.

온 세상의 우주 만물이 연기에 의해 생하고 연기에 의해 멸합니다.

순간순간 찰나찰나에 생멸이 오고갑니다.

연기를 알면 무상을 알고 무상을 알면 고의 실체를 알아 마침내 그 고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기에 텅텅 비우라 하는 것입니다.

이 비움은 허상으로 가득한 우리 자신을 똑바로 보라는 말입니다.

텅텅 비운 속에서 ‘참 나’를 찾으라고 옛 조사님들은 그토록 간절하게 말씀하셨습니다.

그러나 “나를 찾으려 하면 볼 수 없고, 찾지 않으려 하면 영원히 잃어버린다”했습니다.

서산 스님의 제자 소요(逍遙) 스님은 어느 날 스승에게 “이제 나 자신을 찾기 위해 다른 곳으로 가 공부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서산 스님은 글이 담긴 책 하나를 주었습니다.

그 책에는 다음과 같은 말이 담겨 있었습니다.

그림자 없는 나무를 베어다가 (斫來無影樹) 물 가운데 거품을 태워 다할지니라 (憔盡水中, 憔盡海上) 가히 우습다 소를 찾는 사람이여 (可笑尋牛者,可笑騎牛者) 소를 타고 다시 소를 찾는구나 (騎牛更覓牛) 이 부분을 참구하고 참구해 보았으나 알 도리가 없었습니다.

결국 소요 스님은 다시 서산 스님을 찾았습니다.

이 때 서산 스님이 말했습니다.

“우습구나! 소를 타고 소를 찾는구나.”

이에 소요 스님은 확철대오 했습니다.

소요 스님은 자신을 찾으려 사방을 헤맸지만 찾지 못했습니다.

서산 스님의 말씀처럼 이미 자신 안에 갖추고 있음에도 보지 못해 찾지 못한 것인데 엉뚱한 곳에서 자신을 찾으려 하니 볼 수 없었던 겁니다.

‘본래부처’지만 무명에 가려 보지 못할 뿐이라 했습니다.

문제는 그 무명을 걷는 노력, 그리고 그 무명을 어떻게 거둘 것인가만 남아있는 겁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연기를 보는 사람 법을 보고, 여래를 보고, 나를 볼 것이다.”

연기를 통해 무아를 보고, 고를 보고, 무상을 보면 본래 자리를 볼 수 있는 것입니다.

이를 확고히 믿으셔야 합니다.

부설 거사의 열반송에 잠시 귀를 기울여 봅시다.

눈으로 보는 바 없으니 분별이 없고 (目無所見無分別) 귀로 듣는 소리 없으니 시비가 끊어졌다 (耳聽無聲絶是非) 분별 시비를 모두 놓아 버리니 (分別是非都放下) 다만 심불이 스스로 귀의함을 보도다 (但看心佛子歸依) 육근육식에 따라서만 만물을 보려 하니 시비가 끊이지 않는 것입니다.

그 육근육식이 모두 허구인 줄 알면 시비도 끊을 수 있고 그 시비가 끊긴 자리에 탐진치가 설리 만무합니다.

선지식의 한 마디에 이 도리를 알면 되는데 그렇지 못하니 화두를 들고 정진하는 것입니다.

화두는 생생하게 살아 있어야 한다고 합니다.

바로 그렇습니다.

화두가 생생히 살아 삼매에 들어야 참 공부를 한 것입니다.

다만 “화두 든 것도 잊어라”하는 말에 노파심으로 한 말씀 더 드리겠습니다.

“화두 든 것도 잊어라”는 말은 초심자에게는 맞지 않는 말입니다.

초심자들이 이 말에 현혹돼 허송 세월 보내는 경우를 참 많이 보았습니다.

여름에 농부들이 밀짚모자를 쓰고 일하지 않습니까? 강렬한 햇빛 속에서 밀짚모자를 쓰면 “시원하다”며 좋아 합니다.

그 때는 자신이 모자를 쓰고 있음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논밭 일에 여념이 없다보면 자신이 모자 쓴 것도 잊습니다.

심지어 일을 마치고 집에 돌아와 저녁 밥상 앞에서도 모자 벗는 것을 잊는 경우가 있습니다.

바로 이것입니다.

“화두 든 것도 잊어라”는 농부가 모자 쓴 것도 잊고 일하는 것과 같습니다.

화두 든 것도 잊어라? 그러나 초심자는 화두가 생생히 살아 있도록 애쓰고 애써야 합니다.

그래서 옛 조사 스님들이 “모든 것을 버려도 화두는 버리지 말라”당부 하신 겁니다.

앉으나 서나, 자나 깨나 화두가 살아 있도록 해야 하니 처음에 얼마나 많은 노력을 해야 하겠습니까? “현 시대에 화두 드는 것은 너무 어렵다”는 말 많이 합니다.

맞습니다.

화두 참구는 어려운 공부입니다.

평생을 목숨 바쳐 해도 끝나지 않는 공부입니다.

그러니 당연히 어렵습니다.

그러나 발심을 더욱 돈독히 해 보십시오.

최선의 발심을 하고도 안 된다 싶으면 그 때 다른 수행법을 찾아 보십시오.

이 생에 확철대오 못한다 해도 다음 생을 준비하는데는 충분합니다.

누구도 다음 생을 기약할 수 없습니다.

이 생에서 화두 참구하며 연기를 체득하는 순간 여러분은 이미 큰 공덕을 준비하신 겁니다.

초발심을 다시 한 번 더욱 굳건히 해 보시기 바랍니다.

법보 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