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심명(21) 일승에 나아가고자 하거든 육진을 싫어하지 말라.

욕취일승(欲趣一乘)인대 물오육진(勿惡六塵)하라

일승에 나아가고자 하거든 육진을 싫어하지 말라.

일승(一乘)이란 유일무이(唯一無二)한 궁극적 진리의 세계인 부처님의 경지, 즉 무상대도를 말한다. 무상대도의 경지는 일체의 거부가 없다. 그러므로 속제俗諦를 버리고 진제(眞諦)를 구하는 것도 아니며, 진속불이(眞俗不二)이므로 있는 그대로가 모두 도의 세계이다.

육진(六塵)은 범부들이 항상 상대하는 객관의 경계이며, 이로 인해 갖가지의 분별망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그러나 알고 보면 육진도 진여가 작용을 일으켜 나타나는 것이다. 두두(頭頭)가 비로(毘盧)요, 물물(物物)이 화장(華藏)이라는 말처럼 대도를 성취한 분상에서는 삼라만상이 모든 것이 부처님이요 또한 부처님의 세계라는 것이다.

자신이 도(道) 속에 있을 때에는 모든 것을 도안(道眼)으로 보게 된다. 그러므로 눈에 들어오는 것이 모두 도(道)로 보이기 때문에 어느 것도 버릴 것이 없다. “불법이 단지 세간 속에 있으니 세간을 떠나 부처를 찾는 것은 토끼 뿔을 찾는 것과 같다(佛法只在世間中 離世覓佛求兎角).”는 말처럼. 생활의 현장 속에 진리가 내재해 있는 법이다.

육진불오(六塵不惡)하면 환동정각(還同正覺)이라

육진을 싫어하지 않으면 도리어 정각과 같다.

육진(六塵)을 진여(眞如)의 작용인 줄 알아 싫어하지 않으면, 그것이 바른 깨달음의 경계와 같다는 것이다.

“깨달은 사람은 어떻게 생활합니까?”

“목이 마르면 물을 마시고 배가 고프면 밥을 먹느니라.”

깨달은 사람의 일상도 범부의 일상 경계와 똑같은 것으로, 초인적인 신통력을 발휘하면서 특별한 위력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배가 고프면 밥을 먹고 피곤하면 잠을 자는 평범한 생활 그대로라는 것이다.

그러나 상대적 분별에 번뇌로 사는 세계와 절대무(絶對無)에 들어간 무위의 세계는 그 차원이 다르다. 정인(正人)이 정법을 말하면 정법이 사법이 된다고 하였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