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근본교리 (6)연기법

불교의 본질은 인생의 괴로움을 해결하는 것입니다. 중생의 세계는 미혹으로 인한 그릇된 행위가 일어나서 결국 고통스러운 결과를 가져오는 악순환의 연속이라는 것입니다. 이것을 교리적으로 표현할 때 혹(惑)→업(業)→고(苦)의 순환이라 합니다. 석가모니 부처님이 보드가야의 보리수 아래서 정각을 이루었을 때 중생의 고통이 어떻게 해서 생겨나며 어떻게 사라질 수 있는가를 관찰하고 그 이법을 이론적으로 전개해 놓은 것이 12인연설입니다. 생멸변화하는 인생의 모든 현상을 설명하는 교리로 12연기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12가지의 지(支)가 연결된다 하여 12지라는 말을 쓰기도 합니다. 이 설은 모든 존재의 기본적 구조를 12가지 항목의 계열을 세워 설명함으로서 생존의 조건이 연결되는 과정과 이 조건이 소멸되었을 때의 경지를 밝혀 놓은 것입니다.

① 무명(無明 avidya)

우리들 존재의 맨 밑바닥에 자리잡고 있는 것을 무명이라 합니다. 글자 그대로 밝음이 없는 어둠을 말하는 것입니다. 이는 곧 무지(無知) 혹은 무지(無智)라는 말과 같은 뜻으로 ‘모른다’, ‘지혜가 없다’는 뜻입니다. 인생에 있어서 생·노·병·사의 고통을 초래하는 근본 원인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이 무명에서부터 중생의 업이 시작된다고 봅니다. <대승기신론>에서는 여실히 진여(眞如)의 법이 하나임을 알지 못하는 상태를 무명이라 한다고 정의를 내려놓았습니다. 우주 만유에 가득한 상주불변하는 본체를 진여라 하는데 이는 우리들의 사상개념으로 이해할 수 없는 경지의 진실한 진리 그 자체를 두고 부르는 말입니다. 이 진여를 모르는 상태 곧 깨닫지 못한 상태를 무명이라 합니다. 중생의 경우에 이 무명이 과거세로부터 무한히 이어져 온 것으로 그 시작이 인식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합니다. 그래서 흔히 시작을 모른다는 뜻을 붙여 무시무명(無始無明)이라 합니다. 또한 이 무명 때문에 번뇌가 일어난다고 합니다. 마치 땅이 있기 때문에 잡초가 자라듯이 번뇌의 땅이 되는 것이 이 무명입니다. 비유하여 말하자면 캄캄한 어두운 밤에 아무 것도 보이지 않아서 동·서·남·북의 방향을 잃어버린 것과 같은 상태입니다. 그래서 무명을 미혹(迷惑)이라 하고 줄여서 한자로 혹(惑)이라고도 합니다.

② 행(行 samskara)

행이란 곧 행위를 말하는 것입니다. 무엇이 형성되는 힘 혹은 만들어지는 힘을 뜻하는 말인데 어떤 원인에서 결과가 나타나기까지의 진행될 힘이 잠재해 있는 것을 말한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업(業 karma)이 지어지는 상태, 일어나는 상태가 행으로 몸으로 하는 신행(身行)과 말로 하는 구행(口行)과 생각으로 하는 의행(意行)이 있습니다. 이 삼행(三行)을 삼업(三業)이라고도 하는데 모두 무명에 의해서 일어나는 것입니다. 그리고 신·구·의에 따른 행위가 축적되어 사람의 인격의 내용이 결정되고 삼행의 행위에 의해서 형성된 습관력(習慣力) 또한 행인 것입니다. 바꾸어 말하면 업을 짓는 자체가 행인데 업을 지으면 그것을 지은 존재의 내부에 반드시 어떤 행을 유발할 잠재적인 힘이 형성되는데 이것이 업력(業力)이며 업력이 있으면 행은 따라 일어나며 이 업력이 바로 앞에서 설명한 무명이 조건이 되어 생기는 것이며 업력이 형성되는 상태 또한 행이라 한다는 것입니다.

③ 식(識 vijnana)

인식작용 또는 분별작용을 식이라 합니다. 여기에 안식(眼識)·이식(耳識)· 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의식(意識)의 여섯 가지가 있습니다. 이는 우리들 주관을 이루는 인식작용의 갈래를 나누어 말하는 것인데 눈·귀·코·혀·몸의 오관에 의해 일어나는 인식과 마음(意根)에서 일어나는 인식까지를 육식(六識)이라 합니다. 그러나 대승불교의 유식설(唯識說)에서는 7식·8식을 추가하여 말나(末那 manas)식과 아뢰야(阿賴耶 alaya)을 말하지만 근본불교의 교리인 12인연설에서는 아직 7·8식이 설해지지 않았습니다.

이 식은 반드시 행을 조건으로 하여 일어납니다. 그리고 표면적인 의식 다시 말하면 우리들 머리에 떠오른 의식뿐만 아니라 잠재의식이나 무의식 상태에서도 식은 내재해 있습니다. 가령 꽃을 보고 꽃을 인식할 때에 꽃을 보는 행이 먼저 일어나 경험하는 과정이 있고 난 후 잠재의식이나 직접적인 의식이 생기게 된다는 것입니다. 또한 이 식은 시간적으로 과거의 것이나 미래의 것을 생각하는 중추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럴 때 의식의 영역이 시간적으로 공간적으로 무한히 확대되는 것입니다.

지안스님강의. 월간반야 2001년 7월 (제8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