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집성제(集聖諦)
집(集)이란 초집생기(招集生起)의 뜻을 줄여서 하는 말로 불러모아 생기게 한다는 뜻이 있습니다. 범어 사무다야(samudaya)를 번역한 말인데 어떤 결과를 발생케 하는 원인이라는 뜻입니다. 인간의 현실이 결과적으로 괴로움이라고 정의된다면 그 괴로움의 원인이 무엇인가를 밝히는 것이 집성제입니다. 괴로움의 원인을 번뇌(煩惱)라 하며 이 번뇌는 곧 인간의 욕망과 함께 혼합되어 있는 것입니다. 인간에게 있어서 번뇌가 일어나면 이것이 욕망화(慾望化) 됩니다. 번뇌가 욕망으로 되어 이것이 인간을 지배하기에 이릅니다. 물론 욕망은 인생을 이끌어 가는 동력이며, 또한 산다는 것은 욕망을 구체화해 가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욕망 때문에 괴로움을 당한다는 것도 너무나 자명한 사실입니다. 번뇌 가운데서도 가장 세력이 강한 것이 삼독(三毒)이라 일컫는 탐(貪:욕심)·진(瞋: 성냄)·치(痴: 어리석음)입니다. 일반 범부들의 마음속에는 이 삼독이 들어 있다 합니다. 생각으로 짓는 세 가지 나쁜 행위라 하여 의삼업(意三業)이라 하기도 합니다. 생각도 행위로 간주하는 것이 불교의 업(業:karma)의 이론입니다. 이 삼독에 만(慢:아만)· 의(疑:의심)의 두 가지가 더해져 다섯 가지 둔한 성질을 가진 번뇌라 하여 오둔사(五鈍使)라는 용어를 씁니다. 이 오둔사는 성질이 둔하여 끊기가 어려운 번뇌입니다. 이와는 달리 예리한 성질을 가진 번뇌도 있습니다. 오리사(五利使)라 부르는 이 번뇌는 신견(身見)·변견(邊見)·사견(邪見)·견취견(見取見)·계금취견(戒禁取見)인데 지적인 소견을 잘못 가진 경우입니다. 이 다섯 가지를 통칭 악견(惡見)이라고도 합니다. 신견이란 무아(無我)의 이치를 모르고 나와 나의 것이 있다고 고집하여 집착을 가지는 견해를 말합니다.
변견은 있다거나 없다거나 하는 어느 한쪽에 치우친 소견으로 실상의 이치를 미혹한 탓에 무조건 긍정하거나 무조건 부정해 버리는 소견입니다. 사견은 올바르지 못한 부정한 소견이며, 견취견은 옳지 못한 것을 옳다고 고집하는 소견입니다. 그리고 계금취견은 수행자들이 계행을 닦으면서 옳지 못한 계행을 닦는 것으로 다시 말하면 비윤리적인 것을 윤리적인 것이라 잘못 아는 소견입니다. 이 오리사는 지적인 번뇌이므로 바른 정견을 얻으면 쉽게 끊을 수 있으나 앞에서 설명한 오둔사는 정적인 번뇌라 끊기가 힘든 번뇌라 합니다. 이 오둔사와 오리사를 합하면 열 가지가 되는데 이를 근본번뇌라 합니다 번뇌가 중생들의 마음을 마음대로 부린다 사(使)라고 합니다.
번뇌는 그 어원이 범어 klesa인데 몸과 마음을 번거롭게 하고 괴롭히는 정신작용을 뜻하는 말입니다. 마음이 맑고 깨끗하지 못한 상태를 번뇌라 한다는 것입니다. 구름이 끼이면 하늘이 흐리듯이 번뇌가 일어나면 마음이 본래의 청정한 상태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중생들의 마음은 번뇌에 물들어 있습니다. 때문에 인간은 번뇌의 존재라 합니다. 이렇게 말하면서 번뇌를 소멸시켜 가는 것이 불교 수행의 요체입니다. 그러면 번뇌가 어떻게 일어나는가? 108번뇌설에 따르면 우리가 일상생활의 보고 듣는 환경 속에서 일으키는 생각이 모두 번뇌라고 설명합니다. 육근(六根: 眼·耳·鼻·舌·身·意)이 육진(六塵: 色·聲·香·味·觸·法)을 대할 때 느끼는 감정이 여섯 갈래로 나누어진다고 합니다. 우선 보고 듣는 객관 경계에 대하여 호(好:좋다)·오(惡:나쁘다)·평등(平等:좋지도 않고 나쁘지도 않다)의 분별을 하며 다시 고(苦:괴롭다)·낙(樂:즐겁다.)·사(捨:괴롭지도 않고 즐겁지도 않다)의 감정을 일으켜 6×6의 36가지가 되며 이에 다시 일념이 지니는 과거·현재·미래 삼세(三世)의 시간이 곱해져 108가지의 번뇌가 산출된다 합니다. 이러한 번뇌가 괴로움을 유발하는 원인이므로 번뇌를 없애면 괴로움도 없어진다는 것입니다.
3) 멸성제(滅聖諦)
멸성제의 멸은 번뇌가 소멸되어 없어진 상태로 곧 열반을 뜻하는 말입니다. 번뇌가 소멸되면 물론 괴로움도 소멸됩니다. 괴로움이 없어지면 즐거움이 나타나게 됩니다. 어둠이 없어지면 밝게 되듯이 진정한 즐거움은 번뇌가 없어진 경지에서 누려진다는 것입니다. <열반경>에 “모든 현상은 덧없는 것이어서 생겼다 없어지는 법, 생겼다 없어지는 생멸(生滅)현상이 없어지면 열반의 즐거움이 있다”(諸行無常 是生滅法 生滅滅已 寂滅爲樂) 하였습니다. 이 열반의 즐거움이 인생에 있어서 최고의 가치를 지니는 절대 행복이라고 합니다. 불교의 목적을 이고득낙(離苦得樂)이라는 말로 나타내기도 합니다. 괴로움을 여의고 즐거움을 얻는다는 것은 생사의 고통을 떠나 해탈의 즐거움을 누린다는 뜻인데 깨달음의 진리를 체험할 때 얻어지는 대자유의 경지를 설명하는 말입니다. 괴로움이 소멸되고 욕망이 사라졌을 때 고요한 평화의 즐거움이 온 세상에 가득하게 넘치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멸성제는 불교의 이상(理想)으로 영원한 평화와 안락이 충만한 유토피아(utopia)의 세계를 상징합니다. 이것이 곧 불국토인데 부처님의 세계는 괴로움이 없는 곳으로 영원하고 무한한 시공을 초월한 절대의 세계입니다.
지안스님강의. 월간반야 2001년 4월 (제5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