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암 서동과 선화공주 설화의 근거지

사자암 서동과 선화공주 설화의 근거지

삼국유사에는 선화공주에 대한 설화가 다음과 같이 전해온다.

“고본(古本)에는 무강(武康)이라고 했으나 잘못이다. 백제에는 무강이 없다”

제30대 무왕(武王)의 이름은 장(璋)이다. 그 어머니가 과부가 되어 서울 남쪽 못 가에 집을 짓고 살았는데 못 속의 용(龍)과 관계하여 장을 낳았던 것이다.

어릴 때 이름은 서동(薯童)으로 재주와 도량이 커서 헤아리기 어려웠다. 항상 마를 캐다가 파는 것으로 생업을 삼았으므로 사람들이 서동이라고 이름 지었다.

신라 진평왕(眞平王)의 셋째공주 선화(善花. 혹은 善化)가 뛰어나게 아름답다는 말을 듣고는 머리를 깎고 서울로 가서 마을아이들에게 마를 먹이니 이내 아이들이 친해져 그를 따르게 되었다. 이에 동요를 지어 아이들을 꾀어서 부르게 하니 그것은 이러하다.

선화공주(善化公主)님은 남몰래 정을 통하고

서동방(薯童房)을 밤에 몰래 안고 간다.

동요가 서울에 가득 퍼져서 대궐 안까지 들리게 되자 백관들이 임금에게 고하여 공주를 먼 곳으로 귀양 보내게 하여 장차 떠나려 하는데, 왕후(王后)는 순금 한 말을 주어 노자로 쓰게 했다.

공주가 장차 귀양지에 도착하려는데 도중에 서동이 나와 공주에게 절하면서 모시고 가겠다고 하였다. 공주는 그가 어디서 왔는지 알지 못했지만 그저 우연히 믿고 좋아하여, 서동을 따라가면서 비밀리에 정을 통했다. 그런 뒤에 서동의 이름을 알았고, 동요가 맞는 것도 알았다.

함께 백제로 와서 모후(母后)가 준 금을 꺼내 놓고 살아나갈 계획을 의논하자 서동이 크게 웃고 말했다. “이게 무엇이오?”

공주가 말했다.

“이것은 황금이니 이것을 가지면 백 년의 부를 누릴 것입니다.”

“나는 어릴 때부터 마를 캐던 곳에 황금을 흙덩이처럼 쌓아 두었소.”

공주는 이 말을 듣고 크게 놀라면서 말했다.

“그것은 천하의 가장 큰 보배이니 그대는 지금 그 금이 있는 곳을 아시면 우리 부모님이 계신 대궐로 보내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좋소이다.”

이에 금을 모아 산더미처럼 쌓아 놓고, 용화산(龍華山) 사자사(師子寺)의 지명법사(知命法師)에게 가서 이것을 실어 보낼 방법을 물으니 법사가 말하였다.

“내가 신통한 힘으로 보낼 터이니 금을 이리로 가져오시오.”

이리하여 공주가 부모에게 보내는 편지와 함께 금을 사자사 앞에 갖다 놓았다. 법사는 신통한 힘으로 하룻밤 동안에 그 금을 신라 궁중으로 보내자 진평왕은 그 신비스러운 변화를 이상히 여겨 더욱 서동을 존경해서 항상 편지를 보내어 안부를 물었다.

서동은 이로부터 인심을 얻어서 드디어 왕위에 올랐다.

어느날 무왕이 부인과 함께 사자사에 가려고 용화산 밑 큰 못가에 이르니 미륵삼존(彌勒三尊)이 못 가운데서 나타나므로 수레를 멈추고 절을 했다. 부인이 왕에게 말한다.

“모름지기 여기에 큰 절을 지어 주십시오. 그것이 제 소원입니다.”

왕은 그것을 허락했다. 곧 지명법사에게 가서 못을 메울 일을 물으니 신비스러운 힘으로 하룻밤 사이에 산을 헐어 못을 메워 평지를 만들었다.

여기에 미륵삼존의 상(像)을 만들고 회전(會殿)과 탑과 낭무를 각각 세 곳에 세우고 절이름을 미륵사(彌勒寺)라 했다.

‘국사(國史)’에서는 왕흥사(王興寺)라고 한다. 진평왕이 여러 공인(工人)들을 보내서 그 역사를 도왔는데 그 절은 지금도 보존되어 있다.

‘삼국사(三國史)에는 이 분을 법왕(法王)의 아들이라고 했는데, 여기에서는 과부의 아들이라고 했으니 자세히 알 수 없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