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Yog?c?r(y)abh?mi??stra. 100권. K-570, T-1579. 미륵보살 짓고, 무착 보살 엮음. 당(唐)나라 때 현장(玄?)이 646년에서 648년 사이에 홍복사(弘福寺) 또는 대자은사(大慈恩寺)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유가론』이라고 하고 별칭으로 『광석제경론(廣釋諸經論)』 · 『십칠지론(十七地論)』이라고도 한다. 유가행자(瑜伽行者)의 경(境) · 행(行) · 과(果) 및 아뢰야식설 · 삼성설 · 삼무성설 · 유식설 등에 대해 해설한 논서로서 미륵보살이 무착(無着)을 위하여 중천축(中天竺)의 아유사[阿踰?] 대강당에서 4개월 동안 매일 밤마다 강설한 것이라고 한다. 이것은 대승불교 완성기의 사상을 대표하는 논서로서, 유식학파의 중도설과 연기론 및 3승교의 근거가 된다. 모두 5분(分)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분은 여러 품으로 나누어져 있다. 제1 본지분(本地分: 1권-50권)에서는 삼승(三乘)의 사상을 오식신상응지(五識身相應地) · 의지(意地) · 유심유사지(有尋有伺地) · 무심유사지(無尋有伺地) · 무심무사지(無尋無伺地) · 삼마혜다지(三摩?多地) · 비삼마희다지(非三摩?多地) · 유심지(有心地) · 무심지(無心地) · 문소성지(聞所成地) · 사소성지(思所成地) · 수소성지(修所成地) · 성문지(聲聞地) · 독각지(獨覺地) · 보살지(菩薩地) · 유여의지(有餘依地) · 무여의지(無餘依地)의 17지(地)로 나누어 설명한다. 제2 섭결택분(攝決擇分: 51권-80권)에서는 본지분 중의 요의를 해명하고, 제3 섭석분(攝釋分: 81권-82권)에서는 제경의 의칙을 해석하며, 제4 섭이문분(攝異門分: 83권-84권)에서는 경전 속에 나타난 제법의 명의를 해설하고(82~84권), 제5 섭사분(攝事分: 85권-100권)에서는 삼장 속의 요의를 해석한다. 법상종(法相宗)의 중요 논서이다. 주석서로는 최승자(最勝子) 등이 지은 『유가사지론석(瑜伽師地論釋)』 1권 · 규기(窺基)의 『유가사지론약찬(瑜伽師地論略纂)』 16권 · 둔륜(遁倫)의 『유가론기(瑜伽論記)』 24권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