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h?m?y?r?(vidy?r?jn?)(stra). (1) 1권. K-304, T-988. 요진(姚秦)시대에 구마라집(鳩摩羅什, Kum?raj?va)이 402년에서 412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별칭으로 『공작명왕다라니경(孔雀明王陀羅尼經)』 · 『대금색공작왕경(大金色孔雀王經)』 · 『묘비인당다라니경(妙臂仁幢陀羅尼經)』이라고도 한다. 이 경은 『대공작주왕경(佛說大孔雀呪王經)』 · 『공작왕주경』(K-307) · 『불모대공작명왕경』의 부분 번역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부분 번역으로서 『대금색공작왕주경(大金色孔雀王呪經)』 · 『대금색공작왕주경(佛說大金色孔雀王呪經)』이 더 있으나, 이 두 번역본은 역자가 밝혀지지 않았다. 또한 이 3가지 부분 번역 가운데 구마라집의 번역본은 나머지 두 번역본과 차이가 나는데, 경의 약 3분의 1 정도가 제신(諸神)들의 4방 결계(結界)에 대한 내용으로 경전의 앞 부분에 나오고 있는 점이다. 이역본으로 『불모대공작명왕경(佛母大孔雀明王經)』(K-1293) · 『대공작주왕경(佛說大孔雀呪王經)』(K-303)이 있다. ⇒『불모대공작명왕경』 (2) 2권. K-307, T-984. 양(梁)나라 때 승가바라(僧伽婆羅, Sa?ghabhara)가 502년에서 520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별칭으로 『공작명왕다라니경(孔雀明王陀羅尼經)』 · 『공작왕다라니경』이라고도 한다. 이역본인 『불모대공작명왕경(佛母大孔雀明王經)』(K-1293)과 내용은 거의 동일하지만, 진언의 종류에는 다소 차이가 난다. 그 외의 이역본으로 『대공작주왕경(佛說大孔雀呪王經』이 있다. ⇒『불모대공작명왕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