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696) 신라 스님. 이름은 문아(文雅). 신라의 왕족. 어려서 출가, 당나라에 가서 법을 배움. 성품이 총명하여 수천만 언(言)이라도 한번 들으면 잊지 아니하였음. 한문 · 범어의 음과 뜻에 능통. 당나라 태종 때에 원법사에서 『비담론(毘曇論)』 · 『성실론(成實論)』 · 『구사론(俱舍論)』 등을 공부. 고금의 장소(章疏)를 모르는 것이 없었음. 현장이 규기(窺基)를 위하여 『유식론(唯識論)』을 강할 적에 몸을 숨기고 몰래 들었음. 현장이 강의를 마칠 무렵에 스님은 벌써 서명사에서 먼저 유식을 강하였고, 현장이 규기에게 『유가론(瑜伽論)』을 강할 때에도 또 그와 같이하여 서명사의 대덕이 됨. 『유식론소(唯識論疏)』를 지어 규기의 『유식술기(唯識述記)』를 반박. 지바하라가 『밀엄경(密嚴經)』을 번역할 적에 대덕 5인 중의 수석으로 참여. 또 『대승현식경(大乘顯識經)』 등을 번역할 적에는 증의(證義)가 됨. 당나라의 불수기사에서 나이 84세로 입적함. 문도들이 스님의 사리(舍利)를 모아 종남산 풍덕사에 탑을 세움. 스님은 항상 당나라에 있었고 본국에 돌아오지 아니한 듯하나, 『삼국유사(三國遺事)』의 효소왕조에는 “원측 법사가 해동의 고덕이지만 모량리 사람인 탓으로 승직을 주지 않았다”고 함. 혹시 본국에 왔다 갔는지 또 다른 사람인지 미상. 중국 섬서성 서안부 함령현 반천의 북원 흥교사에 스님의 탑이 있음. 저서는 『성유식론소(成唯識論疏)』 10권, 『성유식론별장(成唯識論別章)』 · 『이십유식론소(二十唯識論疏)』 · 『성유식(性唯識)응초』 · 『성유식(性唯識)광초』 · 『유가론소(瑜伽論疏)』 · 『관소연론소(觀所緣論疏)』 · 『인왕경소(仁王經疏)』 3권, 『금강반야경소(金剛般若經疏)』 · 『반야심경찬(般若心經讚)』 · 『무량의경소(無量義經疏)』 · 『구사론(俱舍論)석송초』 ·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10권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