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제법본무경 (佛說諸法本無經)

ⓢ Sarvadharmaprav?ttinirde?a(stra) .

3권 .

K-169, T-651 .

수(隋)나라 때 사나굴다(?那?多, Jn?nagupta)가 595년에 대흥선사(大興善寺)에서 번역하였다 .

반야 공의 입장에서 대승의 중도실상을 설한 경전으로, 모든 법은 본래 없다고 가르친다 .

상권에서는 부처님께서 사자유보(師子遊步)보살의 질문에 대해 중생의 성품이 깨달음[菩提]이고 깨달음의 성품이 중생이기 때문에 깨달음을 얻고자 한다면 탐욕의 허물을 분별하지 말아야 한다고 설하신다 .

그리고 계(戒)를 지키는 것과 계를 깨뜨리는 것은 하나의 모습이며, 모든 말이 하나의 말인 것을 안다면 이름 또한 생기지 않고 모든 법이 한 모습이라는 도에 들어가면 무상법인을 증득한다고 말씀하신다 .

중권에서는 보살이 어떻게 하여야 업장이 깨끗해지는가를 묻는 문수사리에게 부처님께서는 보살이 모든 법에 업도 없고 과보도 없음을 알고 중생이 바로 열반계임을 알면 업장이 깨끗해진다고 설하신다 .

또한 4성제를 바로 보지 못하는 중생은 유전(流轉)하며, 중생이 유전하는 이유는 나[我]와 나의 것[我所]에 집착하기 때문이므로 계를 갖추고 청정한 수행을 해야 한다고 말씀하신다 .

또 부처님께서는 모든 법이 종자구(種子句)와 계라구(?羅句)가 됨을 설하시는데, 중생들의 일심(一心) 등 모든 것은 부처가 되는 성품인 종자구인 동시에 모든 법은 경계가 없고, 멸함이 없고, 머무름이 없으므로 계라구, 즉 부동상(不動相)이 된다고 말씀하신다 .

하권에서는 중생의 계라구에 대해 설명하시는데, 모든 중생이 깨달음에 이르게 되는 것은 변지(遍智)에 의한 것이며, 변지를 갖추고 있음은 모든 중생이 보리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므로 중생의 마음 등이 부동상이라고 하는 것이다 .

이러한 부동상과 일상(一相) 실상(實相)의 사상은 후대에 화엄학과 천태학의 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

이역본으로 『제법무행경(諸法無行經)』이 있으며, 고려대장경에 들어 있지 않은 이역본으로 『대승수전선설제법경(大乘隨轉宣說諸法經』(T-652)이 있다 .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