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전유경 (佛說轉有經)

ⓢ Bhavasa?kr?ntistra .

1권 .

K-266, T-576 .

원위(元魏)시대에 불타선다(佛陀扇多, Buddha??nta)가 539년에 업도(?都)에서 번역하였다 .

부처님께서 빈비사라왕에게 꿈속의 여자를 비유로 들어, 어리석은 범부는 눈으로 모든 형색을 보고 마음에 즐거우면 곧 집착하여 실제로 있다고 여기며, 집착 때문에 얽매이게 되고 얽매이므로 물들어 탐착하고, 물들어 탐착하기 때문에 탐욕 · 성냄 · 어리석음 등의 업이 신업(身業)이나 구업(口業), 혹은 의업(意業)으로 발생한다고 설하신다 .

또 나중의 식심(識心)을 멸하는 것을 소멸이라 이름하고, 처음의 심식이 태어남에 의탁하는 것이 바로 후생(後生)이 되며, 나중의 식(識)이 전변(轉變)할 때에 그 법은 실로 저 곳으로부터 와서 여기에 이르는 것이 아니며, 처음의 식이 생기고 나서도 또한 이르는 곳이 없으니, 법성(法性)의 모습이기 때문이라고 말씀하신다 .

그리고 최초의 심식은 나중의 식이 공(空)한 것이며, 업(業)은 업 그대로 공하고, 생(生)은 생 그대로 공하며, 최초의 심식은 처음 식(識)이 공한 것이고, 생겨난 곳은 생겨난 곳이 공(空)하지만 그곳에서도 업과(業果)는 잃지 않는다고 말씀하신다 .

또한 게송으로써 선서(善逝)께서 깨달으신 후에 연설하신 모든 언어는 다 가명(?名)이고 본래 공(空)하며, 가명으로 설한 일체법도 필경에는 공(空)이라고 설하신다 .

이역본으로 『대방등수다라왕경(佛說大方等修多羅王經)』 · 『대승유전제유경(大乘流轉諸有經)』이 있다 .

⇒『대승유전제유경』 .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