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상액경 (佛說象腋經)

ⓢ Hastikak?y?(stra) .

1권 .

K-185, T-814 .

유송(劉宋)시대에 담마밀다(曇摩蜜多, Dharmamitra)가 441년에 기원사(祇洹寺)에서 번역하였다 .

보살행과 방편바라밀을 먼저 설하고 허공에 비유하여 법을 설한 경전이다 .

상액이란 코끼리의 가슴을 뜻하며, 보살의 굳은 결심을 비유한 말이다 .

부처님께서는 아난에게 이 경전을 이해하는 중생은 큰 코끼리의 힘과 같이 용맹하게 된다고 말씀하시고, 문수사리에게는 보시 · 지계 · 인욕 · 정진 · 선정 · 지혜의 6법을 갖추어야 보살이 모든 공덕의 법에 안주할 수 있다고 설하신다 .

또 허공의 비유를 들어, 허공은 탐욕에 물들지 않고 6법을 성취하는 것도 아니며, 정도(正道)에 정진하거나 사도(邪道)에 정진하는 것도 아니며, 성문승도 아니고 연각승도 아니며 불승(佛乘)도 아니라고 하시고, 이와 같이 이해하는 것이 실상(實相)으로 여래를 보는 것이며, 사견(邪見)이 바른 행(行)이라고 말씀하신다 .

부처님의 이러한 설법을 외도의 설이라고 잘못 이해한 증상만(增上慢)의 비구들에게 부처님께서는 여래를 꿈과 같고 허깨비와 같다고 보는 것이 정견(正見)이며, 바르게 보면 분별하는 마음이 없으므로 분별에 의한 모든 생각이 망견(妄見)이고, 모든 생각이 망견이므로 모든 법이 사견이라고 설하신다 .

이역본으로 『무희망경(佛說無希望經)』이 있다 .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